Logger Script 처방상세보기 | OASIS 전통의학정보포털
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OASIS 전통의학
정보포털


처방상세보기

한약처방기본검색처방상세보기

보중익기탕 , 補中益氣湯, Bojungikgi-tang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메티실린성 황색 포도구균 감염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1명 (M/74)
☞직장절제 수술 후 골반농양
19일 - 포도구균 수치 음성화 134
1명 (M/68)
☞creutzfeldt-jakob disease
(크로이츠펠트 야코프병)
6개월 - 포도구균 수치 음성화 135
1명 (M/76)
☞전림선피막하 수술
2주 - 포도구균 수치 음성화 136
1명 (M/79)
☞기관지 폐렴, 알츠하이머, 변형성척추증
- - 포도구균 수치 음성화 137
1명 (F/47) 1개월 반 - 포도구균 수치 음성화 138
1명 (M/66) 3개월 - 포도구균 수치 음성화
61명 9.6주 - 56명 (91.8%) MRSA 음성화
- 30명 (M 23/F 7)
· 투여군: 10명
· 비투여군: 20명
· 평균연령: 72세
7.5 g/일 - 생존율
 ·  투여군: 100%
 ·  비투여군: 55%
- 균제거율
 ·  투여군: 60%
 ·  비투여군: 30%
271
반복성 재발성 생식기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
(Repeated Recurrent of Genital Herpes)
1명 (F/34)
☞전신권태감, 식욕저하
☞헤르페스 월 2~3회 발생
7.5 g/일, 1년 - 복용 2주 후 전신권태감, 식욕저하, 숙면불량 개선, 2주간 성기헤르페스 재발 없음
- 복용 후 1개월 1회, 3개월 2회, 재발횟수도 감소
-약 1년간 복약 후 복약 중지, 그 후 재발 않음
237
수족증후군
(Hand-foot syndrome)
1명 (F/54)
☞구강 편평상피암
☞설하부의 위화감, 동통
7.5 g/일, 20일 - 화학요법으로 UFT 600 mg/day 시행 후, 수족에 수포, 궤양, 동통
- 투약 후 개선
270
폐결핵
(Tuberculosis of lung)
- 대조군: 317명(M 224/F 93)
· 연령: 20~79세
- 시험군: 323명(M 227/F 96)
· 연령: 21~78세
- 대조군: 화학치료 Isonicotinic acid hydrazide, rifampicin, pyrazinamide ethambutol
- 시험군: 대조군 + 환, 6개월
- 객담 결핵균 검사 시 음전이율 ((치료 전(양성) → 강화기(음성전환) → 지속기(음성))
 ·  대조군: 100% → 59.94% → 90.22%
 ·  시험군: 100% → 84.52% → 98.14%
- 튜벨클린반응 검사(치료 전 → 강화기 2달 → 지속기 4달) (음성)
 ·  대조군 (명): 245 (77.29%) → 216 (68.14%) → 176 (55.52%)
 ·  시험군 (명): 249 (77.09%) → 109 (33.75%) → 53 (16.41%)(양성)
 · 대조군: 72 (22.71%) → 101 (31.86%) → 141 (44.48%)
 · 시험군: 74 (22.91%) → 214 (66.25%) → 270 (83.59%)
236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백혈구 감소증
(-)
7명
☞난소암에 의한 화학요법 치료환자로 골수 억제
4주 - 백혈구, 호중구 감소
- G-CSF, 헤모글로빈 수치 개선
- G-CSF 투여량 감소 및 부작용 경감
139
정적혈구성 정색소성 빈혈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1명 (M/61)
☞뇌졸중
탕액, 2주 - 혈액검사
 ·  Hb (g/dL) 10.8 → 12.0
- 식욕 및 소화상태 호전
145
1명 (F/43)
☞뇌졸중
탕액, 2주 - 혈액검사
 ·  Hb (g/dL) 11.2 → 11.8
- 식욕 및 소화상태 호전
철결핍 빈혈
(Iron Deficient Anemia)
- 30명 (M 9/F 21)
· 연령: 18~65세
- 헤모글로빈 수치 기준
- 유효율 (93.33%)
 ·  치유 16명, 현효 7명, 유효 5명, 무효 2명
239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남성 생식선기능저하 증
(Late-onset Hypogonadism:
LOH)
- 31명
· 연령: 52.6 ± 8.1세
· BMI: 23.7 ± 3.5 kg/m²
7.5 g/일, 8주 -투약전후, 남성 갱년기 수치 및 QOL 설문지, Aging Male Symptom (AMS) 점수와 혈액검사
- 혈액 내 유리 테스토스테론 유의한 상승, ATCH와 코티졸 유의한 저하
- 자각증상 및 AMS 수치 변화 없음
261
뇌하수체성 단신
(난쟁이증)
(Dwarfism)
1명 (F/7) 5 g, 17개월 - 신장 105.2 → 116 cm 186
당뇨병
(Diabetes)
1명 (M/43)
☞좌측견부 격통
2개월 - 진통 감소
- HbA1c 수치 개선 (10.2 → 6.5%)
147
- 대조군: 38명
- 시험군: 36명
- 대조군:Glibenclamide, metformin
- 시험군:대조군 + 보중익기환 8알, 3개월
- 공복 시 혈당 (FPG), 미세알부민뇨증 (MA) 양군 차이 없음
- 치료조 양약 투여량 감소
- 증상 완화율
 ·  대조군: 79%,
 ·  시험군: 94%
148
- 대조군: 56명(M 37/F 19)
· 연령: 36~59세
- 시험군: 56명(M 39/F 17)
· 연령: 35~55세
☞氣虛형
- 대조군:Glibenclamide
- 시험군:대조군 + 환
- 유효율
 ·  대조군 (71.4%): 현효 23명, 유효 17명, 무효 16명
 ·  시험군 (91.1%): 현효 33명, 유효 18명, 무효 5명
240
- 대조군: 34명(M 18/F 16)
· 연령: 32~71세
- 시험군: 34명(M 20/F 14)
· 연령: 38~64세
- 대조군:Glibenclamide, Metformin
- 시험군: 생맥산 + 보중익기탕, 2개월
- FBG (mmol/L)
 ·  대조군: 8.3 ± 1.6 → 7.6 ± 0.9
 ·  시험군: 8.4 ± 1.4 → 6.6 ± 1.1
- PBG (mmol/L)
 ·  대조군: 11.9 ± 1.8 → 9.9 ± 0.6
 ·  시험군: 12.3 ± 1.3 → 9.4 ± 0.4
- 유효율
 ·  대조군 (76.4%): 현효 17명, 유효 9명, 무효 8명
 ·  시험군 (94.1%): 현효 24명, 유효 8명, 무효 2명
241
에너지 및 전해질 대사
(-)
- 대조군: 5명
- 실험군: 5명
☞육상선수
- 대조군: 비투여
- 실험군: 전탕액, 100 mL 3회/일, 2주
- 혈중에너지 대사
 ·  Glucose: 유의성 없음
 ·  Free fatty acid: 유의성 없음
 ·  Lactate: 유의성 있음
 ·  LDH: 유의성 없음
- 전해질 대사
 ·  Na+, Cl-, K+:유의성 있음
202
키 성장
(-)
- 10명 (M 5/F 5)
· 연령: 6~13세
전탕액, 1~20개월
· 연령×10cc
- 통계청 연령별 초중등학생 체격 기준
 ·  남자: 평균 0.68cm 성장
 ·  여자: 평균 2.59cm 성장
187

정신 및 행동장애

정신 및 행동장애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우울병
(Depression)
1명 (F/49)

☞허증 (虛症)
2개월 - 의욕, 식욕이 증가
- 불안 및 우울증세 개선
- 기허점수 개선 (82 → 24점)
150

신경계통의 질환

신경계통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갈랭-바레증후군
(Guillan-Barre syndrome,
痿症)
- 대조군: 66예(M 39/F 27)
· 평균연령: 47.5세
- 시험군: 66예(M 37/F 29)
· 평균연령: 48세
- 대조군: Prednisone,비타민B1, B12
- 시험군: 대조군 + 전탕액 100 mL/3회/일, 20일
- 상하지 근력회복시간(일)
 ·  대조군: 36.1 ± 11.9
 ·  시험군: 22.4 ± 8.4
- 유효율
 ·  대조군: 96.2%
 ·  시험군: 90.2%
155
대상포진 후 신경통
(Postherpetic neuralgia)
1명 (M/35)
☞16세부터 크론병으로 대장 및 소장절제술
6주 - 투약 2주 후부터 개선, 6주 후 완치 153
폐색성 수면 무호흡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13명 (M 8/F 5)
· 평균연령: 67세
7.5 g, 2개월 - 총 무호흡수 저하: 191.3 ± 36.6회 → 83.2 ± 25.7회
- 무호흡지수: 23.1 ± 4.8 → 9.6 ± 2.6회/시
154

귀 및 유돌의 질환

귀 및 유돌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개방성 귀인두관
(Patulous Eustachian tube)
10명 7.5 g/일, 3일~8개월 - 현효 4명, 유효 1명, 무효 5명 242
메니에르병
(Meniere's disease)
- 48명 (M 15/F 33)
· 평균연령: 58세
4일~13일 - 현훈, 오심구토, 이명 완화
- 유효율: 91.7%
 ·  치유: 35명, 호전: 9명, 무효: 4명
- 평균 9일에 완치
156
1명 (F/74) 5일 - 증상 소실

순환계통의 질환

순환계통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당뇨병성 저혈압
(Postprandial hypotension)
1명 (M/72) 7.5 g/일, 1주 -OGTT (경구당부하검사)에 의한 혈압저하 개선 (26 mmHg → 12 mmHg)
- 노르에피네프린 (noradrenaline) 수치 정상화
146
폐동맥경화증
(-)
- 대조군: 9명 (F)
- 시험군: 9명 (F)
· 평균연령: 70세
· 평균병력: 8년
☞BMI 20 이하
- 대조군: 기존치료
- 시험군: 대조군 + 전탕액, 24주
- 두군 객담전환 효과 없음
- 객담 colonies 집략수
 ·  대조군: 증가 / 시험군: 안정
- 시험군의 체중 및 혈청 알부민 증가
- 치료 전후 엑스레이 판독 결과
 ·  대조군: 안정 3명, 악화 6명
 ·  시험군: 개선 2명, 안정 6명, 악화 1명
243
협심증
(Angina pectoris)
- 대조군: 40명(M 25/F 15)
· 평균연령: 61.5세
- 시험군: 42명(M 24/F 18)
· 평균연령: 62.5세
- 대조군: 복방단삼적환 0알/3회/일, 1~8주
- 시험군: 복방단삼적환 10알/3회/일 (1, 3, 5, 7주), 보중익기환 8알/3회/일 (2, 4, 6, 8주)
- 4주: 양군 모두 증상 및 심전도 개선
- 8주: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증상 및 심전도 개선 높음
157

호흡계통의 질환

호흡계통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기관지 폐렴
(Bronchial pneumonia)
1명 (M/72) 6개월 - 감염증 재발 해소됨 137
1명 (M/87) - - 감염증 재발 해소됨
1명 (M/63) 6개월 -폐렴균 (Streptococcus pneumoniae)에 의한 기관지 확장과 결절의 재발성 악화
-투여 후 체중과 혈청 알부민 증가, 폐렴균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해소
246
기관지확장증
(bronchiectasis)
- 대조군: 24명 (M 16/F 8)
· 연령: 66.38 ± 5.31세
- 시험군: 28명 (M 18/F 10)
· 연령: 66.67 ± 5.14세
- 대조군: Ofloxacin, ambroxol Hydrochloride
- 시험군: 대조군 + 환, 4주
- 유효율
 · 대조군 (75%): 억제 3명, 현효 7명, 유효 8명, 무효 6명
 · 시험군 (96.4%): 억제 8명, 현효 13명, 유효 6명, 무효 1명
247
기흉
(Pneumothorax)
1명 (F/56) 7.5 g/일, 5일 - 투여 5일 후 흉부 X선상 기흉 개선
(우폐허탈율 15% → 7%)
245
만성 폐색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17명 7.5 g/일 - 자각 증상 평가
 ·  SGRQ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개선
 ·  감모이환 및 악화 횟수 감소
- 객관적 측정
 ·  Pre Albumin 수치 증가
 ·  혈청 고감도 CRP, TNF-α 저하
 ·  동맥경화에 대해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아디포넥틴 수치 증가
244
앨러지비염
(Allergic rhinitis)
- 대조군: 40명
- 시험군Ⅰ: 42명
- 시험군Ⅱ: 40명
· 연령: 평균 25세
· 병력: 1~25년
- 대조군:Chlorpheniramine maleate, 1알/회, 2회/일
- 시험군Ⅰ:금궤신기환 + 보중익기환
- 시험군Ⅱ: 대조군 + 시험군, 8주
- 유효율
 ·  대조군/시험군Ⅰ/시험군Ⅱ: 87.5%/86.0%/95.0%
158
- 대조군: 52명(M 17/F 35)
- 시험군: 52명(M 18/F 34),
· 연령: 7~14세
· 병력: 5년
- 대조군: Loratadine
- 시험군: 대조군 + 보중익기환, 1환/2회, 2회/일, 1환. 3개월, 1환/일, 3개월. 총 6개월
- 유효율
 ·  대조군/시험군: 88.4%/96.1%
159

소화계통의 질환

소화계통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과민성대장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 대조군: 150명
- 시험군: 303명
- 대조군: Cryzanol, sodium cromoglycate
- 시험군: 보중익기탕
- 유효율
 ·  대조군 (68.6%): 전유10명, 현효 32명, 유효 61명, 무효 47명
 ·  시험군 (97.0%): 전유223명, 현효 61명, 유효 10명, 무효 9명
166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 대조군: 40명(M 24/F 16)
· 평균연령: 51.2세
- 시험군: 40명
(M 22/F 18)
· 평균연령: 53.3세
- 대조군: Sulfasalazine 1.0 g
- 시험군: 대조군 + 보중익기환 6 g, 30일
- 유효율
 · 대조군 (75.0%): 치유 4명, 현효 14명, 유효 9명, 무효 10명
 ·  시험군 (90.0%): 치유 9명, 현효 18명, 유효 9명, 무효 4명
167
- 대조군: 40명(M 24/F 16)
· 연령: 51.2 ± 8.9세
- 시험군: 40명(M 22/F 18)
· 연령: 53.3 ± 7.5세
- 대조군: Sulfasalazine
- 시험군: 대조군 + 환
- 유효율
 ·  대조군 (75.0%): 치유 7명, 현효 14명, 유효 9명 무효 10명
 ·  시험군 (90.00%): 치유 9명, 현효 18명, 유효 9명, 무효 4명
250
변비
(Constipation)
1명 (F/84) 4주 -마자인환, 조위승기탕, 대건중탕, 계지가작약탕 효과 없음
- 내장하수 및 내장유동저하
-투약 2주 후부터 복만, 배변장애 개선, 4주 후 완치
168
1명 (F/80) 7.5 g, 3회/일 - 기허(氣虛)변비 치료 169
1명 (F/82) 5.0 g, 2회/일 - 배변 순조
1명 (F/86) 5.0 g, 2회/일 - 한번 설사 후 자연 배변
- 25명
· 평균연령: 49세
환 10 g, 3회/일, 3개월 -(유효율: 84.0%)
 ·  전유 6명, 현효 9명, 유효 6명, 무효 4명
171
- 47명 (M 46/F 1)
· 연령: 56~81세
☞氣虛형
- 48명 치유 251
- 70명 (M 10/F 60)
· 평균연령: 87.9세
- - 52명 (74%) 개선
 ·  16명은 대황 병행투여
170
- 대조군: 75명(M 37/F 38)
· 연령: 60~77세
- 시험군: 75명(M 36/F 39)
· 연령: 60~76세
- 대조군: Cisapride
- 시험군: 대조군 + 환, 4주
- 유효율
 ·  대조군 (70.7%): 치유 30명, 유효 23명, 무효 22명
 ·  시험군 (90.7%): 치유 45명, 유효 23명, 무효 7명
252
- 구제군 (灸臍): 40명(M 23/F 17)
· 연령: 18~60세
- 한약군: 40명(M 28/F 12)
· 연령: 20~64세
- 연합군: 40명(M 25/F 15)
· 연령: 23~59세
☞항문수술 후 변비
- 구제군: 15분, 2회/일
- 한약군: 전탕액 250 mL, 2회/일
- 연합군: 구제군 + 약물군, 7일
- 유효율
 ·  구제군 (70.0%): 치유 10명, 호전 18명, 무효 12명
 ·  한약군 (72.5%): 치유 13명, 호전 16명, 무효 11명
 ·  연합군 (87.5%): 치유 20명, 호전 15명, 무효 5명
- 변비/처음 배변시간/평균 변비시간
 ·  구제군: 5명/12h/3일
 ·  약물군: 7명/17h/4일
 ·  연합군: 4명/11h/2.5일
258
설사
(Diarrhea)
- 대조군: 300명
- 시험군: 324명
(M 173/F 151)
· 연령: 6개월~9세
☞고한 (高寒)지역
- 대조군: 통상치료
- 시험군: 보중익기환
- 음식 정상 섭취, 대변횟수, 체중, 대변성상 등 지표
- 유효율
 ·  대조군/시험군: 73.0%/95.6%
- 정상 대변 수/회복 일
 ·  대조군: 9.8 ± 3.3
 ·  시험군: 12.8 ± 4.1
- 정상 대변 형상 시간
 ·  대조군: 10.1 ± 3.5
 ·  시험군: 135 ± 4.2
- 체중 및 혈액 검사상 유의성 있음
174
- 대조군: 40명(M 24/F 16)
- 시험군: 40명(M 22/F 18)
☞대장암 수술
- 대조군: imodium
- 시험군: 대조군 + 보중익기탕, 1주일
- 시험군이 항문억제력, 배변감각, 배변횟수 감각이 좋음
- 유효율
 ·  대조군: 55%
 ·  시험군: 85%
175
- 대조군: 32명(M 20/F 12)
· 연령: 37~78세
- 시험군: 32명(M 21/F 11)
· 연령: 34~81세
☞대장암 수술
- 대조군: Loperamide
- 시험군: 대조군 + 환, 1주일
- 유효율
 ·  대조군 (71.9%): 완치 7명, 부분완치 16명, 미해결 9명
 ·  시험군 (93.8%): 완치 11명, 부분완치 19명, 미해결 2명
253
- 대조군: 45명(M 28/F 17)
· 연령: 23~71세
- 시험군: 45명(M 27/F 18)
· 연령: 21~68세
☞담낭절제수술
- 대조군: Live Bifido-bacterium,Montmorillo-nite
- 시험군: 환, 3주
- 유효율
 ·  대조군 (66.67%): 치유 11명, 호전 19명, 미유 15명
 ·  시험군 (88.89%): 치유 24명, 호전 16명, 미유 5명
254
위하수
(Gastroptosis)
- 대조군: 19명(M 7/F 12)
· 평균연령: 35.9세
- 시험군: 38명(M 15/F 23)
· 평균연령: 37.8세
- 대조군: Galanthamin근육주사,domperidone
- 시험군: 보중익기탕,1~3개월
- 체중 측정, 위 조영촬영 검사
- 유효율
 ·  대조군: 63.2%
 ·  시험군: 86.8%
162
- 대조군: 40명(M 15/F 25)
· 평균연령: 51.6세
· 평균병력: 39개월
- 시험군: 42명(M 13/F 29)
· 평균연령: 53.2세
· 평균병력: 41개월
- 대조군: 보중익기환 10 g/2회
- 시험군: 대조군 + mosapride, 12주
- 임상증상 및 위 조영촬영 검사
- 유효율
 ·  대조군: 75.0%
 ·  시험군: 95.2%
163
- 43명 (M 17/F 2)
· 연령: 22~57세
· 병력: 7개월~12년
보중익기환 2회/일 - 유효율: 95%
 ·  전유: 33명, 현효: 8명, 무효: 2명
164
- 대조군: 37명 (M 11/F 26)
· 연령: 18~53세
- 시험군: 39명(M 12/F27)
· 연령: 17~56세
- 대조군: 무처치
- 시험군: Domperidone + 환, 2개월
- 유효율
 ·  대조군 (39.3%): 현효 0명, 유효 15명, 무효 22명
 ·  시험군 (92.3%): 현효 15명, 유효21명, 무효 3명
249
치핵
(Hemorrhoid)
46명 25 g, 3회/일, 3개월 - 항문 주위 동통, 출혈, 치핵 탈출, 종창, 잔변감 개선
- 투약 후 6주부터 호전
165
항문 통증
(Anal pain)
- 대조군: 35명(M 14/F 21)
· 평균연령: 33.8세
- 시험군: 35명(M 10/F 25)
· 평균연령: 34.1세
☞치질 수술
- 대조군: Tramadol
- 시험군: 환 16환
- 수술 후 48시간부터 투여
- VAS측정 (48h/72h/96h)
 ·  대조군: 4.3 ± 0.7/4.0 ± 0.8/3.6 ± 0.5
 ·  시험군: 4.5 ± 0.8/2.6 ± 0.7/2.1 ± 0.3
- 유효율
 ·  대조군: 71.4%
 ·  시험군: 91.4%
173
항문탈출
(Anal prolapse)
- 55명 (M 29/F 26)
· 평균연령: 7.58세
-보중익기탕 항문 훈증 요법, 20분/일 + 전탕액, 20일 - 치료유효율: 92.7%
 ·  치유: 40명, 현효: 7명, 유효: 4명, 무효: 4명
172
1명 (F/4)
☞전간
- - 항전간약 복용 시에 직장항문탈
- 투약 후 배변 시 불쾌감 소실, 직장항문 탈장치료
- 6개월 후 장염으로 직장항문탈 수차례 출현, 외과적 치료
255
- 4명 (M 2/F 2)
· 연령: 3세
☞직장 점막탈
1개월 - 탈항 증상 개선 및 치유 256
- 90명 (M 42/F 48)
- 침구군: 30명
- 한약군: 30명
- 연합군: 30명
· 연령: 22~56세
- 침구군: 백회, 장강, 기해, 관원, 신수, 신궐, 15분
- 한약군: 전탕액 100 mL
- 연합군: 침구군 + 한약군, 2주
- 치료전후 항문 탈장감 점수 측정
 ·  침구군: 1.27 ± 0.37 → 1.06 ± 0.36
 ·  중약군: 1.28 ± 0.41 → 1.09 ± 0.37
 ·  연합군: 1.27 ± 0.38 → 0.81 ± 0.26
- 유효율
 ·  침구군 (56.67%): 치유 9명, 현효 8명, 유효 11명, 무효 2명
 ·  중약군 (56.67%): 치유 9명, 현효 8명, 유효 10명, 무효 3명
 ·  연합군 (86.68%): 치유 20명, 현효 6명, 유효 2명, 무효 2명
257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1명 (F/4) 1.5년 - 증상개선 후 재발없음 176
1명 (F/1.2) 2주 이상 - 생후 9개월 때 발병
- 증상개선 후 재발없음
1명 (F/29) 1주일 - 2세 때 발병
- 스테로이드제 거부
- 전신 발적 경쾌
1명 (M/15) - - 4세 발병
- 스테로이드제 거부
- 피진 (皮疹), 수척상태 개선
1명 (M/26) 6일 - 10세 발병
- 스테로이드제 거부
- 피부발적, 동통 개선
1명 (M/2) 3 g, 2개월 - 피진 소실 177
1명 (F/4) 탕제 - 투여 후 소양감 감소
- 1개월 후 변비와 피진 개선
- 대조군: 40명
- 시험군: 37명
- 대조군: 위약
- 시험군: 7.5 g, 24주
- 대조군과 시험군 사이에 치료효과의 차이 없음
-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험군의 외용제 사용량이 감소
178
영아 습진
(Infantile eczema)
1명 (M/1) 탕제, 4개월 - 등 부위 화폐상 습진
 ·  월비가출탕, 마행의감탕, 시호청간탕 효과 없음
177
욕창 궤양
(Decubitus ulcer)
- 13명 (16병례)
(M 4/F 9)
· 평균연령: 79.6세
7.5 g/일 - 16병례 중 14병례 완치
- 평균 치료일수: 131.2일
179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관절염
(Arthritis)
1명 (F/64) - - 염증/면역학적 지표 감소
 ·  CRP: 6.8 → 0.5 mg/dL
 ·  RF: 194 → 39 IU/mL
180
1명 (F/55) 9개월 - 관절염 무효과
- 환자의 QOL 개선
181
다발관절통
(Polyarthralgia)
1명 (F/48)
☞피로 및 어깨, 손목 경직과 통증
7.5 g/일, 5개월 - 류마티스관절염도 아닌 상태에서 여러 관절의 압통, 자발통
- 투약 3주 증상 소실, 5개월 후 피로 회복
260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과다활동성 방광
(Overactive bladder)
- 대조군: 28명 (F)
- 시험군: 28명 (F)
- 대조군: Tolterodine tartrate2 mg/d
- 시험군: 대조군 + 전탕액 100 mL 3회/일, 4주
-24시간 배뇨수, 주간야간배뇨수, 배뇨량, 뇨통, 뇨잔뇨감
- OABSS 평가
 ·  대조군: 11.67±0.95
 ·  시험군: 5.28±0.96
- QOL평가
 ·  대조군: 5.25±0.91
 ·  시험군: 2.35±0.91
191
남성불임
(Male infertility)
20명 7.5 g/일, 3개월 - 정자운동성 유의하게 증가
- 정자 양, 숫자 및 형태는 무변화
- TNF-α, IL-6 무변화
- RANTES level 감소 (214 ± 74 → 182 ± 57)
183
35명 7.5 g/일, 3개월 - 정자 농도 개선 (40%)
- 정자 운동률 개선 (45.7%)
- HCG 면역테스트: 테스토스테론 반응증가
184
여성생식기 탈출
(Genital prolapse)
- 37명 (F) · 평균연령: 68.7세 7.5 g/일, 2~24주 - 매우 개선 (6명), 개선/투약계속 (6명), Ring pessary 착용 (9명), 수술치료 (10명), 무변화 (5명), 부작용 (1명) - 자각증상 개선율: 48.9% 190
요실금
(Urinary incontinence)
- 대조군: 28명
· 평균연령: 27.9세
- 시험군: 28명
· 평균연령: 28.3세
☞산후압박성
- 대조군: midodrine hydrochloride 2.5 mg, 90일
- 시험군: 환 10 g, 3개월
- 유효율
 ·  대조군 (67.9%): 전유 8명, 현효 5명, 유효 6명, 무효 9명
 ·  시험군 (89.3%): 전유 13명, 현효 8명, 유효 4명, 무효 3명
192
- 대조군: 45명 (F)
· 연령: 56~62세
- 시험군: 46명 (F)
· 연령: 57~63세
- 대조군: 항문수축운동
- 시험군: 대조군 + 환, 2개월
- 유효율
 ·  대조군 (64.4%): 현효 20명, 호전 9명, 무효 16명
 ·  시험군 (86.9%): 현효 26명, 호전 14명, 무효 6명
263
- 13명
· 연령: 34~75세
· BMI: 25.2 ± 4.7
☞복압성
7.5 g/일, 4주 -투약전 후, VAS (visuall analog scale), IQOL (Incontinence-QOL) 검사 및 배뇨일지
 ·  유의한 차이 없지만 개선 경향
- BMI 25 미만은 차이 없음
264
자궁탈출, 방광류
(Uterine and bladder prolapse)
- 17명
· 평균연령: 62.6세
3.75~7.5 g/일, 2주~완치까지 계속 - 매우 개선 (6명), 개선 (9명), 무변화 (2명) 188
- 38명
· 평균연령: 60세
6 g/일, 6개월 - 투약 2주 후: 개선 (15명, 39%), 무변화 (17명, 45%), 악화 (6명, 16%)
- 투약 6개월 후: 투약계속 (8명, 21%), 투약 중지 (2명, 5%), 수술 (10명, 27%), 통원치료 중지 (18명, 47%)
189
- 22명 · 연령: 62.6 ± 7.1세 7.5 g/일 - 자궁하수증 (17명)  ·  현효 6명, 유효 9명, 무효 2명 - 방광하수증 (5명)  ·  현효 4명 262
전립선증식증
(Hyperplasia of prostate)
- 45명
· 연령: 58~81세
Prostate Tablets + 환, 12주 - 국제 전립선증상 지수, 삶의 질, 뇨잔류량
 ·  지수: 21.2 ± 6.9 → 10.7 ± 5.4
 ·  삶의 질: 5.4 ± 1.1 → 2.6 ± 1.2
 · 뇨잔류량 (mL): 45.8 ± 7.1 → 10.4 ± 5.6
266
폐경 장애
(Menopausal disorder)
7명 - - 두통 및 피로감 개선 (환자의 에스트로겐 수치의 영향 없음) 185
후복막 섬유증
(IgG4-related retroperitoneal fibrosis)
1명 (M/62)
☞복막섬유종수술
3년 - 7개월 스테로이드 투여 후 개선되었으나 스테로이드 합병증 발생
- 투약 후 재발안함
161

임신, 출산 및 산후기

임신, 출산 및 산후기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분만후 유루 (溢乳)
(postpartrum galatorrhea)
- 48명
· 연령: 23~40세
전탕액, 3일 - 증상 개선 기간
 ·  1일: 32명 (66.6%)
 ·  2일: 12명 (25.0%)
 ·  3일: 4명 (8.3%)
267
재발성 자연유산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 72명
· 대조군: 42명
· 시험군: 30명
- 평균연속 자연유산:2.9회
- 평균 인공유산: 1.7회
- 대조군: 배우자 임파세포
- 시험군: 전탕액, 3개월
- BE-Ab1, BE-Ab2: 양 군 모두 상승
- 항CD3,4,8-BE: 양군 모두 개선 없음
- 보중익기탕군도 배우자 임파세포 투입한 면역치료와 같은 효과가 있음
194
절박유산
(Threatened abortion)
1명 (F/31) 5주 - 자궁수축 억제제의 부작용인 가슴의 두근거림 (動悸), 빈맥 (頻脈), 식욕저하, 권태감이 개선됨 (임신 23주에 입원하여, 28주에 출산) 193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 소견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 소견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다뇨
(Polyuria)
- 34명
· 연령: 65~89세
☞경요도전립선기화수술
환, 2개월 - 유효율: 91.18%
 ·  치유 21명, 호전 10명, 무효 3명
265
발열
(Fever)
- 1명 (F/79)
☞고혈압, 당뇨
- 탕액, 13일 - 체온: 38~38.5℃
- 가미육미지황탕 4일 효과 없음
- 보중익기탕 3일 투여 후 정상체온
197
- 대조군: 20명(M 13/F 7)
· 평균연령: 45.1세
- 시험군: 20명(M 12/F 8)
· 평균연령: 44.8세
☞골절 수술
- 대조군:소염, 진통 등 대증 치료 (해열제 사용 안함)
- 시험군:대조군 + 보중익기탕, 2회/일, 7일
- 수술 후 1~3일에 발열 (37℃~38.5℃)
- 정상체온 회복 (회복율)
 ·  대조군: 8예 (60.0%)
 ·  시험군: 16예 (95.0%)
198
발한
(Perspiration)
- 114명
· 연령: 1~6세
- 투약기간
· 3개월 미만 (32%)
· 6개월 이내 (41%)
- 허약, 쉽게 감염, 천식
- 매우 개선 (32%), 개선 (58%), 무변화 (10%)
196
병감 및 피로
(Malaise and fatigue)
- 6명 (M 5/F1)
· 연령: 21~71세
☞중증의 뇌혈관장해 후 면역기능 저하
7.5 g/6개월 - 6명 모두 백혈구 수치 정상회복
- 6명 중 5명의 혈청 중 임파구수 개선 (1240 → 2100)
199
- 대조군: 10명
- 시험군: 11명
☞정상인
- 대조군: 위약
- 시험군: 5 g, 3회/일, 6주
- 시험군이 체중, 각근력, 배근력, 순발력, 민첩성 증가
- 시험군이 최대 환기량, 최대 호흡수에 증가
259
- 대조군 24명
- 시험군: 9명
☞십이지장절제수술
- 대조군: 비투약
- 시험군: 보중익기탕, 3개월
- 식사개시 시기의 단축
 ·  대조군: 27.8일
 ·  시험군: 14.8일
- 헤모글로빈 수치 상승
 ·  대조군: 0.6 g/dL
 ·  시험군: 2.1 g/dL
200
- 1명 (F/37)
- 출산 후 9년간
- 각종 혈액검사 이상 없음
-맥침세 (沈細), 설종대염백 (腫大淡白)
- - 피로감 증상 개선
- 당귀건중탕, 황기건중탕 효과 없음
149
1명 (M/27)
☞만성 바이러스B형 간염
2개월 - 인터페론치료 개선 없음, 피로증상으로 내원
- HBe의 seroconversion
- HBV-DNA(-)
- HBeAb(+)
- ALT 정상수치
160
1명 (M/26)
☞만성 바이러스B형 간염
- - 인터페론치료 개선 없음
- HBe의 seroconversion
- HBV-DNA(+) 수치 저하
- HBeAb(+)
- ALT 정상수치
1명 (F/68)
☞자궁경부암
7.5 g/일, 8주 - 복용 전, 4주, 8주 피로도 및 삶의 질 검사
 ·  치료 전에 비하여 개선
- 이화학 및 혈액학적 변화 없음
268
- 대조군: 8명
- 시험군: 8명
- 대조군: 소엽엑기스 8 g
- 시험군: 8 g, 3회/일, 4주
- Treadmill에 의한 점증적 최대운동검사
 ·  최대 환기량, 최대 심박수, 호흡 교환율 영향 없음
 ·  최대산소섭취량 증가
 ·  안정기 젖산 농도 감소
269
- 25명 (F 14/M 11)
· 평균연령: 58.6세
☞만성 바이러스B형 간염
6개월 - 60세 이하 12명 무변화
- 60세 이상 13명의 GPT 수치 저하 (102.5 ± 67.2 IU/mL → 86.3 ± 67.2 IU/mL)
- 기허 (氣虛)증상 개선
124
- 31명 · 투여군: 18명 · 비투여군: 13명 · 연령: 80세 이상 ☞폐암 7.5 g/일, 4주 이상 - 전신 권태감 발생 빈도 저하
- 기분, 식욕량 개선
142
1명 (F/73)
☞자궁근종 수술
2주 - 외출 후 피로가 경감 151
- 15명 (M 9/F 6)
· 평균연령: 45.9세
☞흉선확대제거수술
2~4개월 - 완치: 12예
- 현저한 효과: 2예
- 효과 있음: 1예
- 무효: 0예 (100% 유효율)
152
10명
☞Stage III 이하의 소화기암 수술
7.5 g
수술 전 1주, 수술 후 2주간
- CD4/CD8 림프구 수치가 수술 1주 후 유의하게 증가
- NK (natural killer)세포 활성 증가
140
- 12명
· 5명 (위암)
· 4명 (대장암)
· 3명 (직장암)
7.5 g/일, 1주 - 1주간 투여 전후 IL-6변화
- IL-6 수치개선 (4명)
- 위암 1례 (27.64 → 16.84 ng/mL)
- 대장암 1례 (121.99 → 9.85 ng/mL)
- 직장암 2례 (16.39 → 6.96, 10.23 → 2.5 ng/mL)
141
- 120명
· 대조군: 60명
· 시험군: 60명
· 정상군: 60명
☞원발성간암
전탕액, 30일 - TNF-α (pg/mL)
 ·  치료 전: 318.78 ± 95.65
 ·  치료 후: 258.48 ± 65.26
- IL-8 (pg/mL)
 ·  치료 전: 118.46 ± 8.58
 ·  치료 후: 100.47 ± 6.2
- 보중익기탕이 종양환자의 증상 개선 및 항억제세포 성장 및 면역반응과도를 감소
143
- 대조군: 30명
- 시험군: 32명
☞결장암
- 대조군: 화학요법
- 시험군: 대조군 + 보중익기탕
- 3개월
- 화학요법 부작용: 중성구감소, 혈소판감소, 빈혈, 오심구토, 복통설사, 간기능 이상
 ·  대조군: 45.1% 호전율
 ·  시험군: 73.5% 호전율
- 허약증상 개선, 불량반응 감소
144
애역증
(Hiccough)
- 대조군: 30명(M 18/F 12)
· 연령: 62~73세
- 시험군: 30명(M 20/F 10)
· 연령: 63~75세
☞구강협암 수술
- 대조군: 호흡법, 신경지압, 족삼리 밀봉
- 시험군: 환, 3일
- 유효율
 ·  대조군 (56.7%): 현효 9명, 유효 8명, 무효 13명
 · 시험군 (90%): 현효 17명, 유효 10명, 무효 3명
248
작열감
(Burning sensation)
1명 (M/32) 4개월 - 여름철, 작열감에 의한 발한, 권태감, 식욕부진이 개선 195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 -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병행치료, 참고문헌 정보 제공
병명 환자 복용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
문헌
외상성경부 증후군
(Posttraumatic neck syndrome)
1명 (F/52) 7.5 g/일, 5개월 - 자동차 사고 후 두경부 동통, 운동제한
- 증상 개선 후 투약 중지
182
1명 (F/47) 7.5 g/일, 2개월 - 자동차 사고 후 두경부 동통, 식용부진
- 증상 개선 후 투약 중지
저체온증
(Low body temperature)
- 14명 (M)
· 평균연령: 32세
☞기력쇠약자
7.5 g/일, 4주 - 기력감퇴 개선
- 체온 증가
201
카테터 감염
(Catheter-related infection)
1명 (M/26)
☞선천성 거대 결장병
(Hirschsprung's Disease)으로
개복수술
7.5 g/일, 6개월 - 1년 1~2회, 카데터 감염으로 인한 입 · 퇴원 반복
- 복약 6개월 후, 발열이 수일간 나타났지만 그 후 1년간 카테터 감염 없음
238

열기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