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대장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
- 대조군: 150명
- 시험군: 303명 |
- 대조군: Cryzanol, sodium cromoglycate
- 시험군: 보중익기탕 |
- 유효율
· 대조군 (68.6%): 전유10명, 현효 32명, 유효 61명, 무효 47명
· 시험군 (97.0%): 전유223명, 현효 61명, 유효 10명, 무효 9명 |
166
|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
- 대조군: 40명(M 24/F 16)
· 평균연령: 51.2세
- 시험군: 40명
(M 22/F 18)
· 평균연령: 53.3세 |
- 대조군: Sulfasalazine 1.0 g
- 시험군: 대조군 + 보중익기환 6 g, 30일 |
- 유효율
· 대조군 (75.0%): 치유 4명, 현효 14명, 유효 9명, 무효 10명
· 시험군 (90.0%): 치유 9명, 현효 18명, 유효 9명, 무효 4명 |
167
|
- 대조군: 40명(M 24/F 16)
· 연령: 51.2 ± 8.9세
- 시험군: 40명(M 22/F 18)
· 연령: 53.3 ± 7.5세 |
- 대조군: Sulfasalazine
- 시험군: 대조군 + 환 |
- 유효율
· 대조군 (75.0%): 치유 7명, 현효 14명, 유효 9명 무효 10명
· 시험군 (90.00%): 치유 9명, 현효 18명, 유효 9명, 무효 4명 |
250
|
변비
(Constipation)
|
1명 (F/84) |
4주 |
-마자인환, 조위승기탕, 대건중탕, 계지가작약탕 효과 없음
- 내장하수 및 내장유동저하
-투약 2주 후부터 복만, 배변장애 개선, 4주 후 완치 |
168
|
1명 (F/80) |
7.5 g, 3회/일 |
- 기허(氣虛)변비 치료 |
169
|
1명 (F/82) |
5.0 g, 2회/일 |
- 배변 순조 |
1명 (F/86) |
5.0 g, 2회/일 |
- 한번 설사 후 자연 배변 |
- 25명
· 평균연령: 49세 |
환 10 g, 3회/일, 3개월 |
-(유효율: 84.0%)
· 전유 6명, 현효 9명, 유효 6명, 무효 4명 |
171
|
- 47명 (M 46/F 1)
· 연령: 56~81세
☞氣虛형 |
환 |
- 48명 치유 |
251
|
- 70명 (M 10/F 60)
· 평균연령: 87.9세 |
- |
- 52명 (74%) 개선
· 16명은 대황 병행투여 |
170
|
- 대조군: 75명(M 37/F 38)
· 연령: 60~77세
- 시험군: 75명(M 36/F 39)
· 연령: 60~76세 |
- 대조군: Cisapride
- 시험군: 대조군 + 환, 4주 |
- 유효율
· 대조군 (70.7%): 치유 30명, 유효 23명, 무효 22명
· 시험군 (90.7%): 치유 45명, 유효 23명, 무효 7명 |
252
|
- 구제군 (灸臍): 40명(M 23/F 17)
· 연령: 18~60세
- 한약군: 40명(M 28/F 12)
· 연령: 20~64세
- 연합군: 40명(M 25/F 15)
· 연령: 23~59세
☞항문수술 후 변비 |
- 구제군: 15분, 2회/일
- 한약군: 전탕액 250 mL, 2회/일
- 연합군: 구제군 + 약물군, 7일 |
- 유효율
· 구제군 (70.0%): 치유 10명, 호전 18명, 무효 12명
· 한약군 (72.5%): 치유 13명, 호전 16명, 무효 11명
· 연합군 (87.5%): 치유 20명, 호전 15명, 무효 5명
- 변비/처음 배변시간/평균 변비시간
· 구제군: 5명/12h/3일
· 약물군: 7명/17h/4일
· 연합군: 4명/11h/2.5일 |
258
|
설사
(Diarrhea)
|
- 대조군: 300명
- 시험군: 324명
(M 173/F 151)
· 연령: 6개월~9세
☞고한 (高寒)지역 |
- 대조군: 통상치료
- 시험군: 보중익기환 |
- 음식 정상 섭취, 대변횟수, 체중, 대변성상 등 지표
- 유효율
· 대조군/시험군: 73.0%/95.6%
- 정상 대변 수/회복 일
· 대조군: 9.8 ± 3.3
· 시험군: 12.8 ± 4.1
- 정상 대변 형상 시간
· 대조군: 10.1 ± 3.5
· 시험군: 135 ± 4.2
- 체중 및 혈액 검사상 유의성 있음 |
174
|
- 대조군: 40명(M 24/F 16)
- 시험군: 40명(M 22/F 18)
☞대장암 수술 |
- 대조군: imodium
- 시험군: 대조군 + 보중익기탕, 1주일 |
- 시험군이 항문억제력, 배변감각, 배변횟수 감각이 좋음
- 유효율
· 대조군: 55%
· 시험군: 85% |
175
|
- 대조군: 32명(M 20/F 12)
· 연령: 37~78세
- 시험군: 32명(M 21/F 11)
· 연령: 34~81세
☞대장암 수술 |
- 대조군: Loperamide
- 시험군: 대조군 + 환, 1주일 |
- 유효율
· 대조군 (71.9%): 완치 7명, 부분완치 16명, 미해결 9명
· 시험군 (93.8%): 완치 11명, 부분완치 19명, 미해결 2명 |
253
|
- 대조군: 45명(M 28/F 17)
· 연령: 23~71세
- 시험군: 45명(M 27/F 18)
· 연령: 21~68세
☞담낭절제수술 |
- 대조군: Live Bifido-bacterium,Montmorillo-nite
- 시험군: 환, 3주 |
- 유효율
· 대조군 (66.67%): 치유 11명, 호전 19명, 미유 15명
· 시험군 (88.89%): 치유 24명, 호전 16명, 미유 5명 |
254
|
위하수
(Gastroptosis)
|
- 대조군: 19명(M 7/F 12)
· 평균연령: 35.9세
- 시험군: 38명(M 15/F 23)
· 평균연령: 37.8세 |
- 대조군: Galanthamin근육주사,domperidone
- 시험군: 보중익기탕,1~3개월 |
- 체중 측정, 위 조영촬영 검사
- 유효율
· 대조군: 63.2%
· 시험군: 86.8% |
162
|
- 대조군: 40명(M 15/F 25)
· 평균연령: 51.6세
· 평균병력: 39개월
- 시험군: 42명(M 13/F 29)
· 평균연령: 53.2세
· 평균병력: 41개월 |
- 대조군: 보중익기환 10 g/2회
- 시험군: 대조군 + mosapride, 12주 |
- 임상증상 및 위 조영촬영 검사
- 유효율
· 대조군: 75.0%
· 시험군: 95.2% |
163
|
- 43명 (M 17/F 2)
· 연령: 22~57세
· 병력: 7개월~12년 |
보중익기환 2회/일 |
- 유효율: 95%
· 전유: 33명, 현효: 8명, 무효: 2명 |
164
|
- 대조군: 37명 (M 11/F 26)
· 연령: 18~53세
- 시험군: 39명(M 12/F27)
· 연령: 17~56세 |
- 대조군: 무처치
- 시험군: Domperidone + 환, 2개월 |
- 유효율
· 대조군 (39.3%): 현효 0명, 유효 15명, 무효 22명
· 시험군 (92.3%): 현효 15명, 유효21명, 무효 3명 |
249
|
치핵
(Hemorrhoid)
|
46명 |
25 g, 3회/일, 3개월 |
- 항문 주위 동통, 출혈, 치핵 탈출, 종창, 잔변감 개선
- 투약 후 6주부터 호전 |
165
|
항문 통증
(Anal pain)
|
- 대조군: 35명(M 14/F 21)
· 평균연령: 33.8세
- 시험군: 35명(M 10/F 25)
· 평균연령: 34.1세
☞치질 수술 |
- 대조군: Tramadol
- 시험군: 환 16환 |
- 수술 후 48시간부터 투여
- VAS측정 (48h/72h/96h)
· 대조군: 4.3 ± 0.7/4.0 ± 0.8/3.6 ± 0.5
· 시험군: 4.5 ± 0.8/2.6 ± 0.7/2.1 ± 0.3
- 유효율
· 대조군: 71.4%
· 시험군: 91.4% |
173
|
항문탈출
(Anal prolapse)
|
- 55명 (M 29/F 26)
· 평균연령: 7.58세 |
-보중익기탕 항문 훈증 요법, 20분/일 + 전탕액, 20일 |
- 치료유효율: 92.7%
· 치유: 40명, 현효: 7명, 유효: 4명, 무효: 4명 |
172
|
1명 (F/4)
☞전간 |
- |
- 항전간약 복용 시에 직장항문탈
- 투약 후 배변 시 불쾌감 소실, 직장항문 탈장치료
- 6개월 후 장염으로 직장항문탈 수차례 출현, 외과적 치료 |
255
|
- 4명 (M 2/F 2)
· 연령: 3세
☞직장 점막탈 |
1개월 |
- 탈항 증상 개선 및 치유 |
256
|
- 90명 (M 42/F 48)
- 침구군: 30명
- 한약군: 30명
- 연합군: 30명
· 연령: 22~56세 |
- 침구군: 백회, 장강, 기해, 관원, 신수, 신궐, 15분
- 한약군: 전탕액 100 mL
- 연합군: 침구군 + 한약군, 2주 |
- 치료전후 항문 탈장감 점수 측정
· 침구군: 1.27 ± 0.37 → 1.06 ± 0.36
· 중약군: 1.28 ± 0.41 → 1.09 ± 0.37
· 연합군: 1.27 ± 0.38 → 0.81 ± 0.26
- 유효율
· 침구군 (56.67%): 치유 9명, 현효 8명, 유효 11명, 무효 2명
· 중약군 (56.67%): 치유 9명, 현효 8명, 유효 10명, 무효 3명
· 연합군 (86.68%): 치유 20명, 현효 6명, 유효 2명, 무효 2명 |
2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