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조절
|
In vivo |
Mouse |
- Dextran 유발 세망내피계 기능 저하 모델
· 세망내피계 섭식능 증가
· Hb 수치 증가, Hct 변화 없음 |
29
|
In vivo |
Mouse |
- 자외선 조사 유발 면역억제 모델
· NK cell 활성도 증가
·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ADCC) 반응 증가
· 섭식세포의 반응산소중간물질 (ROI) 생성능 감소 억제
· 면양적혈구에 의한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 증가
· DNFB 감작 접촉성 과민반응 (CH) 저하를 억제 |
30
|
In vivo |
Rat (♂) |
- MTX 유발 면역 억제 모델
· 체중 감소 억제
· 흉선 무게 증가
· 혈중 CD4+ T 세포율 증가
· 흉선 내 lymphocyte 수, CD4+ T세포율 증가
· 비장 내 lymphocyte 수, CD4+ T세포율 증가
· 액와 림프절 내 CD4+ T 세포율 증가 |
31
|
In vivo |
Mouse |
- 대황 유발 비허 (spleen-deficiency) 모델
· 비장 무게 증가, 비장 내 백혈구 수 증가
· 항 SRBC 항체 생성량 증가 |
32
|
In vivo |
Mouse |
- Reserpine 유발 비허 (spleen-deficiency) 모델
· 비장 및 흉선 무게 증가
· RBC의 rosette 형성 증가
· 비장세포 중 NK 세포 활성 증가
· 복강 대식세포의 TNF 활성 억제 |
33
|
In vivo |
Mouse (♀) |
- CY 유발 백혈구 감소증 (leukopenia) 모델
· 혈중 백혈구 감소 억제
· 구성약재 중 인삼의 ginsenoside Rg1: 중성구 (neutrophil), 단핵구 (monocyte) 수 증가
·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후 생존율 증가
· 골수 세포의 CFU-S 수 증가
· 비장, 골수, 간, IEL 내 IL-3, GM-CSF, IFN-γ 생성 세포 수 증가 |
34
|
In vivo |
Mouse (♂) |
- 정상 모델에 투여
· 비장세포: 세포 증식 증가, DNA 분절화 (fragmentation) 감소, Th1 세포 활성화 |
35
|
In vivo |
Mouse |
- Reserpine 유발 비허 모델
· 백혈구 수 및 Hb 수치 정상화
· Rosette 형성 rate 정상화
· NK cell 활성 및 TNF 수치 정상화 |
36
|
In vivo |
Mouse bone marrow cell |
- 골수세포
· 콜로니 형성 유발 |
37
|
In vitro |
Mouse T cell |
- OVA 특이 증식 T 세포
· Th1 세포의 증식 유발 효과 없음 |
38
|
In vitro |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
- IL-18 처리 단핵 세포
· ICAM-1, B7.2의 발현 가속화
· TNF-α, IFN-γ 생성 가속화 |
39
|
In vivo |
Mouse |
- 정상 생쥐 모델
· 비장 NK 세포의 세포독성 증가 및 CD4/CD8 세포의 분화 증가 |
40
|
In vitro |
Dendritic cell (DC) |
- 단핵구 유래 수지상 세포
· CD80, CD83, CD86, HLA-DR 발현 증가 |
41
|
In vivo |
Mouse |
- Reserpine 유발 비허 모델
· 혈중 Hb level, 대식세포 활성, NK 활성, LAK 활성 증가
· TNF 값 감소
· T 세포 증식, IL-2 활성 증가 및 CD4+, CD8+ 발현 증가 |
42
|
In vivo |
Mouse |
- Cyclophosphamide 유발 면역 억제 모델
· NK 세포 활성 증가
· 림프구 증식 증가 |
43
|
In vivo |
Mouse (♂) |
- 비허 모델
· 비장 림파구 증식 및 IL-2 생성 증가 |
44
|
In vivo |
Mouse (♂) |
- 비허 모델
· CTL 활성 증가 |
45
|
In vitro |
IEC-6 |
- Intestinal epithelial cell line
· Intestinal immune system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hemokine (CCL2, CCL11, CCL20, CCL25) 유전자 발현 증가 |
211
|
In vivo |
Mouse |
- Methotrexate-처리 소장점막염 유발 마우스
· 유발 초기단계에서 적출한 공장 (jejunum) 내 TNF-α 발현 감소
· Jejunum 내 CCL25 및 KGF 유전자 발현 증가
· Peyer's patch 내 FAE에서 CCL20, CCL9, CXCL16 유전자 발현 증가
→ 장 면역계 활성화 |
앨러지
|
In vitro |
- |
- 수동피부과민반응, 지연형과민반응 감소 |
9
|
In vivo |
Mouse |
- DNP-KLH 감작 모델
· 혈중 항원 특이 IgE level 감소
· 비장세포 배양액 중 항원 특이 IgE, IgG1 및 IL-2, IL-4 생성 억제 |
46
|
In vivo |
Mouse (♀) |
- OVA 감작 모델
· 혈중 OVA-특이 IgE, 히스타민 level 감소
· 비장 림프구의 IL-4, IL-2 분비 및 세포 증식 억제 |
47
|
In vivo |
Mouse (♀) |
- OVA 감작 앨러지성 천식 모델
· 혈중 OVA-특이 IgE, IgG1 level 감소, IgG2a 증가
· 비장 T세포의 IL-4 생산 감소, IFN-γ 증가 |
48
|
In vivo |
Mouse |
- Compound 48/80 유발 전신성 아나필락시스 (즉시형 앨러지)
· 생존률 증가
· 비만세포 탈과립율 감소
- PC 유발 접촉성 피부염 반응 (지연형 앨러지)
· 귀 부종 억제
- SRBC 유발 지연형 족부종 반응
· 족부종 억제 |
49
|
In vivo |
Rat |
- OVA 감작 앨러지성 비염 유발 모델
· 혈중 호산구수 증가 억제
· 비점막 및 점막하 조직 손상 억제 |
50
|
In vivo |
Mouse |
- OVA 유발 앨러지성 비염 모델
· 비장세포에서 IL-5 및 IFN-γ 생성 감소
· 혈중 IgE level 감소 |
51
|
In vivo |
Nc/Jic mouse |
- OVA로 유도한 마우스 앨러지 모델
· 혈청 ALT 값 감소
· IL-4, IL-6, TNF-α 생산감소 |
75
|
염증
|
In vitro |
RAW 264.7 cell |
- LPS/IFN-γ 유발 염증 반응 생쥐 대식세포주
· NO 생성 억제, iNOS 발현 억제
· 전염증 사이토카인 (TNF-α, IL-1β, IL-6) 생성 억제
· 세포 생존률 증가 |
52
|
In vivo |
Mouse |
- Methotrexate 유발 비허 타입의 구강 염증 모델
· 혈중 IL-2, IFN-γ level 증가
· 구강 점막 손상 회복 |
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