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상기도 감염
(Acute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
- 1명 (F/68)
· 체온: 39℃ |
1제/일, 100 mL/회 |
- 1회 복용: 불한출 (不汗出)
- 2시간 후 다시 복용: 땀이 나고 즉시 완쾌
- 3시간 내에 두 번 복용 후 전신에 미미한 땀이 나오고 완치됨 |
34
|
- 1명 (F/68)
· 체온: 38.5℃ |
1제/일 |
- 1회 복용: 미한출 (微汗出)후 해열 |
- 1명 (M/66)
☞연조직감염 |
과립제 |
- 고열: 39.5℃
· 복용 후: 소한출 (小汗出)
· 2시간 후 다시 복용: 크게 땀이 나고, 발열 감소, 야간에 발열오한 (發熱惡寒), 두신동통 (頭身疼痛) 증상 소실 |
35
|
- 97명 (M 45/F 52)
· 연령: 17세~45세 |
- |
- 오한, 발열, 두통, 전신통, 관절통, 맥부긴 (脈浮緊), 무한 (無汗) 증상: 98.9% 치료 |
36
|
- 106명 (M 71/F 35)
· 연령: 18~60세 이상
☞여름감기 |
1제/일,
6일 |
- 유효율 91.5%
· 완치 (증상소실) 76명
· 호전 (발열쇠퇴, 임상증상 감소) 21명
· 무효 (증상무개선 혹은 가중) 9명 |
37
|
독감의증
(Flu-like symptoms)
|
3명 (F)
☞만성 C형 간염 (IFN-β 600만 단위투여) |
- 3회/일
· 3회: IFN-β 투여 전, 투여 직후, 1h |
- IFN-β 투여 부작용인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 (태양병 실증; 감기증상과 유사) 증상 소실 |
30
|
18명 (M 6/F 12)
☞만성 C형 간염 (IFN-β 600만 단위투여) |
- 100 mL 3회/일
· 3회: IFN-β 투여 전, 투여 직후, 1h |
- IFN-β + 마황탕투여군은 IFN-β군과의 비교
· 일반적 문제점, 불편감, 관절통 측정 점수 낮음
· 체온, IL-1β, TNF-α에 효과 없음
· IL-6, IL-1Ra은 유의성 있게 증가 |
31
|
앨러지성 비염
(Allergic rhinitis)
|
- 25명 (M 14/F 11)
· 평균연령: 9.6세
· 평균이환기간:45.3개월 |
1회 투여 |
- 복용 28~60분 후의 즉시적 효과
· 주관적인 비폐색감의 유의한 감소 (VAS), 좌우 비강용적의 유의한 증가
· 좌우 비강용적 증가율: 15~40% |
75
|
영유아 천식
(Pediatric asthma)
|
- 대조군: 100명
- 시험군: 100명(M 140/F 60)
· 연령: 3개월~3세 |
- 대조군:Beclomethasone dipropionate, salbutamol, ipratropine bromide 분무흡입, glucocorticoid
- 시험군: 대조군 + 마황탕 |
- 유효율
· 대조군 (79%): 완치 50명, 현효 29명, 무효 21명
· 시험군 (92%): 완치 68명, 현효 24명, 무효 8명 |
42
|
인플루엔자
(Influenza)
|
- 대조군: 66명(M 25/F 41)
· 연령:41.95 ± 13.02세
- 시험군: 66명(M 25/F 41)
· 연령:42.92 ± 13.25세
☞태양상한증 (treating sun typhoid card) |
- 대조군: NaCl 주사액+ penicillin+ ribavirin+ 비타민C
- 시험군: 마황탕 200 mL 2회/일 |
- 태양상한증: 두통, 오한, 발열, 항강통
- 3일 후 유효율
· 대조군 (84.85%): 완치 35명, 현효 12명, 유효 9명, 무효 10명
· 시험군 (95.45%): 완치 54명, 현효 5명, 유효 4명, 무효 3명
- 6일 후 유효율
· 대조군 (87.88%): 완치 49명, 현효 5명, 유효 4명, 무효 8명
- 유효율 58명
· 시험군 (98.48%): 완치 60명, 현효 2명, 유효 3명, 무효 1명 |
38
|
- 대조군: 73명
· 연령: 9세 이하
- 시험군: 26명
· 연령: 10세 이상 |
- 대조군: 오세르타미비르(타미플루)
- 시험군: 3포/일, 3일 |
- 48시간 이내 해열률
· 대조군: 94.5%
· 시험군: 81.0% |
53
|
- 대조군Ⅰ: 40명
· 연령: 생후 1개월~9세
- 대조군Ⅱ: 24명
· 연령: 4세~15세
- 시험군: 20명
· 연령: 1세~14세 |
- 대조군Ⅰ: 오세르타미비르 (타미플루)
- 대조군Ⅱ: 라니나미비르
(이나비루)
- 시험군: 3포/일, 3일 |
- 48시간 이내 해열률
· 대조군Ⅰ: 97.5%, 대조군Ⅱ: 87.5%, 시험군: 90%
- 증상 발현 후 발열 일수 2일 이내 환자율
· 대조군Ⅰ: 85.0%, 대조군Ⅱ: 79.2% 시험군: 75% |
- 대조군: 73명
· 연령: 9세 이하
- 시험군: 26명
· 연령: 10세 이상 |
- 대조군: 오세르타미비르
- 시험군: 3포/일, 3일 |
- 대조군 해열률
· 1일 67.1%, 2일 27.4%, 3일 4.1%
· 3일 후 기침증상 잔존율: 23.3%
- 시험군 해열률
· 1일 50%, 2일 31%, 3일 19%
· 3일 후 기침증상 잔존율: 15% |
54
|
- 26명 (M 13/F 13)
· 연령: 10~15세
☞38도 이상 고열 |
3포/일, 3일 |
- 해열률
· 1일 50%, 2일 31%, 3일 19%
· 3일 후 기침 증상 잔존율: 15% |
55
|
- 대조군Ⅰ
· A형: 515명
· A형: 366명
· A형: 338명
· B형: 155명
· B형: 163명
- 대조군Ⅱ
· A형: 225명
· A형: 158명
· A형: 381명
· B형: 175명
· B형: 263명
- 시험군
· A형: 57명
· A형: 150명
· A형: 181명
· B형: 38명
· B형: 111명 |
- 대조군Ⅰ: 오세르타미비르
- 대조군Ⅱ: 자나미비르
- 시험군: 마황탕 |
- 2006년∼2009년 사이의 각 년도 환자 대상
- 해열 시간: 대조군Ⅰ군이 대조군Ⅱ군과 거의 동등하거나 약간 길었지만, 년도나 바이러스 유형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었음
- 시험군은 바이러스 잔존율이 대조군Ⅰ군과 대조군Ⅱ에 비해서 A형 인플루엔자에서 높았고, B형 인플루엔자에서는 낮은 경향이 있음
- 성인에 비해 소아가 해열 시간이 긴 경향이 있음 |
56
|
- 오세르타미비르내성형 |
- |
- 해열시간 (h)
· 마황탕: 33.1 ± 24.2
· 오세르타미비르: 47.9 ± 31.9
- 투여 후에 72시간 이상 발열 비율
· 마황탕: 8.6%
· 오세르타미비르: 23.4%
- 마황탕 투여 후 5 ± 1일째 H1N1 바이러스 잔존율 33.3%, 내성이 없는 경우의 오세르타미비르 투여 후 바이러스 잔존율 10% 전후인 것에 비해 높음
· 항바이러스 약에 비해 마황탕의 항바이러스효과 한계 있음 |
57
|
- 대조군Ⅰ: 30명
- 대조군Ⅱ: 23명
- 시험군: 28명 |
- 대조군Ⅰ: 오세르타미비르 혹은 자나미비르
- 대조군Ⅱ: 마황탕
- 시험군: 대조군Ⅰ+대조군Ⅱ, 5일 |
- 발열 지속기간, 임상증상 지속기간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 없음
· 단 발열 지속기간과 임상증상 지속기간 모두 병용군이 가장 짧음
· 부작용에 관하여, 흥분, 현훈 등의 신경증상이 대조군Ⅰ에 있어서 고비율로 나타났으나, 시험군은 출현 비율이 줄어들었고, 대조군Ⅱ는 없음 |
58
|
- 대조군Ⅰ: 107명
- 대조군Ⅱ: 65명
- 시험군: 99명 |
- 대조군Ⅰ: 오세르타미비르 혹은 자나미비르
- 대조군Ⅱ: 크라리스로마이신
- 시험군: 대조군Ⅱ + 마황탕, 5일 |
- 발열 지속기간, 임상증상 지속기간 모두 통계적 유의성 없음
· A형에 대해서는 각 군 모두 동등한 효과
· B형에서는 대조군Ⅰ이 약간 양호한 효과 |
- A형: 37명
· 연령:2.9 ± 1.9세
- B형: 26명
· 연령:5.4 ± 3.0세
· 2006/2007년
- A형: 49명
· 연령:2.9 ± 2.0세
· 2007/2008년 |
엑기스, 3일 |
- 마황탕에 따른 조기 해열작용이 모두 관찰됨
· 06/07년도 해열시간: 인플루엔자A형 약 40시간, 인플루엔자B형 28시간 전후
· 07/08년도에서 해열시간: 약 26시간 전후
· 백신접종 유무에 따른 해열시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음 |
59
|
- 37명
· 연령:15세 이하 24명 |
엑기스, 3일 |
- 해열시간 (h) 평균: 32.1 ± 21.6
- 발열시간 (h) 평균: 44.1 ± 19.7
· 해열시간 (h): A형 34.0 ± 23.5/B형 25.0 ± 10.3
- A형의 아형별로는 H1N1의 해열시간 평균은25.5±11.7
- 4일째의 바이러스잔존율의 검체는 20례 (55.0%), A형의 아형별로는 H1N1 63.7%, H3N2 50.0%, B형 40.0% |
60
|
- 대조군: 12명
- 시험군: 10명 |
- 대조군: 오세르타미비르
- 시험군: 마황탕 |
- 발열일수는 대조군이 시험군에 비해서 짧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음
- 인플루엔자 합병증인 두통, 전신권태감은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빨리 개선됨 |
61
|
- 370명 (M 193/F 177)
· 평균연령: 6.0세
· 인플루엔자 A형: 309명, B형: 61명 |
마황탕 0.2 g/kg/일,
하루 2회 |
- 48시간이내 해열 185명 (56.7%)
· 7세 미만에 비해 7세 이상에서 유효예가 많음
- 뇌염, 뇌증, 폐렴 등 중등도의 합병증 및 유해사고, 부작용은 없었음
- 마황탕을 발열 후 48시간이내에 복용한 경우의 평균 발열기간은 2.0 ± 0.7일로 자연경과에 의한 해열은 3~5일에 비해 단축 가능성 보임
- 인플루엔자백신은 286명 (77.3%)가 접종했으나 접종 유무와 마황탕의 유효성에는 관련 없었음
- 마황탕과 체격 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음 |
62
|
- 38명 (M 23/F 15)
· A형 12명, B형 14명, 음성 12명 |
- |
- 해열작용은 투여 후 1일째 19명 (52.8%), 2일째 7명 (19.4%), 3일째 1명
- 항생제로 변경한 경우: 4명 |
63
|
- 대조군: 38명
· 연령:4.6 ± 2.0세
· A형:B형=26:12
- 시험군: 54명
· 연령: 5.2 ± 2.6세
· A형:B형=44:10 |
- 대조군: 오세르타미비르군
- 시험군: 마황탕 |
- 대조군은 투여 2~3일째에 해열되었고, 시험군은 대조군보다 해열이 약간 완만, 투여 2일째에는 대조군과 비슷한 정도로 해열작용
- 시험군은 소아인플루엔자 감염치료에 대해 대조군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며 부작용이나 인플루엔자뇌증의 예방적 측면, 전신증상의 개선 등 측면에서 유용한 것으로 고찰됨 |
64
|
- 74명
· 연령:3.8 ± 2.6세(A형:B형=37:26)
- 49명
· 연령:2.9 ± 2.0세(A형:B형=47:0)
- 370명
· 연령:2.6 ± 1.9세(A형:B형=209:169) |
0.18 g/kg/일, 3일 |
- 복약 순응도
· 연령에 관련 없이 30%
· 식품 등의 혼합 복용지도 후 91.8~100%
- 복용 순응도가 양호한 환자의 해열소요 시간이 비교적 빠름
- A형, B형 모두 약 1~1.5일 정도에 해열 |
65
|
- 130명
· 대조군: 40명
· 시험군: 90명
☞임신부 |
- 대조군: 무처치
- 시험군: 엑스제제 7.5 g/일 |
- A형은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평균 16.3시간 빠른 해열
- B형도 시험군이 대조군과 비해 평균 13.5 시간 빠른 해열
- 두통, 전신권태감, 식욕부진 등의 전신증상 비교에서도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빠른 증상 개선 |
66
|
- 167명 (M 103/F 64)
· 평균연령: 8.5세 |
- |
- 마황탕 단독 투여군과 항인플루엔자약 병용군의 사이에 발열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음
· 마황탕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중등도의 부작용은 없었음 |
67
|
인플루엔자 A형
(Influenza A)
|
- 1명 (M 10) |
자나미비르 1회 10 mg을 1일 2회, 5일간 투여하면서 마황탕 3.75 g을 식간에 하루 3회 2일간 발열 시 병용복용 |
- 발열, 두통, 전신권태, 식욕부진
· 30분 후부터 해열 시작, 4시간 후 해열
- 소염진통제의 급격하고 과도한 해열로 인한 인플루엔자 뇌증 예방에 마황탕 병용 의견 제시 |
39
|
- 대조군: 18명
- 시험군Ⅰ: 17명
- 시험군Ⅱ: 14명
· 연령: 5개월~13세
☞38℃ 이상 발열 |
- 대조군: 항인플루엔자약 Oseltamivir
- 시험군Ⅰ: 마황탕
- 시험군Ⅱ: 대조군 + 시험군Ⅰ |
- 48시간 체온 측정
· 대조군: 24시간 후 해열
· 시험군Ⅰ: 15시간 후 해열
· 시험군Ⅱ: 18시간 후 해열 |
40
|
- 대조군: 166명
- 시험군: 80명
· 15세 이하
· 평균연령: 7.4세 |
- 대조군: 항인플루엔자약 (Oseltamivir 4 mg/kg 또는 zanamivir 20 mg)
- 시험군:마황탕 0.2 ∼ 7.5 g/연령/일 |
-호흡기계합병증 (기관지염, 폐렴, 천식)으로 병용약 투여 비율
· 대조군: 166명 중 64명 (39%)
· 시험군: 80명 중 12명 (15%)
-기관지천식 기왕력이 없는 경우 추가 치료를 필요 비율
· 대조군: 107명 중 19명 (18%)
· 시험군: 67명 중 4명 (6%)
-호흡기계 합병증으로 추가 치료 비율
· 대조군: 166명 중 34명 (21%)
· 시험군: 89명 중 9명 (11%) |
41
|
- 106명
· 평균연령: 5.4세 |
마황탕
0.2 ∼ 7.5 g/연령/일 |
- 24시간 이내 해열: 36.8%
- 48시간 이내 해열: 28.3%
- 48시간 이상 발열: 13.2%
- 해열 후 다시 재발열: 12.3%
- 백신접종군에 있어서의 마황탕의 유효증례가 유의성 많음
· 전체: 65.1%
· 백신접종군: 80% |
68
|
- 대조군: 8명
· 평균연령: 23.4세
- 시험군: 12명
· 평균연령: 35.9세 |
- 대조군: 오세르타미비르
- 시험군: 마황탕, 5일 |
- 제반 증상소실 기간
· 대조군: 84.4시간
· 시험군: 80.8시간
-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횟수
· 대조군: 2.4회
· 시험군: 0.6회 |
69
|
- 102명
· 대조군: 53명
· 시험군: 49명 |
- 대조군: 타미플루
- 시험군: 마황탕, 5일 |
- 해열까지 일수
· 대조군: 2일 35.8%, 3일 34.0% 4일 13.2%
· 시험군: 2일 18.4%, 3일 16.3%, 4일 20.4%, 5일 24.5%로 해열 지연
- 시험군에서 해열 지연 경향있음
- 재발열율
· 대조군 20.8%
· 시험군 42.9%
-대조군의 해열효과가 시험군보다 강함 |
70
|
- 86명
· 대조군: 46명
· 시험군: 40명 |
- 대조군: 오세르타미비르
- 시험군: 마황탕, 5일 |
-투여 후 체온은 12~30시간째는 시험군이 평균 0.15 ~ 0.25도가 낮았으나, 36시간째 이후 대조군이 낮았음
- 투여 후의 발열기간 (h)
· 대조군: 67.0 ± 24.4
· 시험군: 84.8 ± 36.8
- 3~4일 재발열 빈도
· 대조군: 4.3%
· 시험군: 20.0% |
71
|
- 172명
· 대조군Ⅰ: 64명
· 대조군Ⅱ: 61명
· 시험군: 47명 |
- 대조군Ⅰ: A사 마황탕, 1~6일
- 대조군Ⅱ: B사 마황탕, 1~6일
- 시험군:오세르타미비르, 1.5~5일 |
- 발열시간 (h)
· 대조군Ⅰ 67/대조군Ⅱ 70/시험군 46
- 전신증상 소실 시간 (h)
· 대조군Ⅰ 70/ 대조군Ⅱ 74/시험군 48
- 인후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소실 시간 (h)
· 대조군Ⅰ 98/대조군Ⅱ 101/시험군 96
- 해열 후의 바이러스 소실 시간 (h)
· 대조군Ⅰ 32/대조군Ⅱ 32/시험군 50 |
72
|
- 147명
· A형 소련형 인플루엔자: 86명
· A형 홍콩형 인플루엔자: 61명 |
- A형 소련형 인플루엔자
· 마황탕군: 63명
· 오세르타미비르군:15명
· 대증요법군: 8명
- A형 홍콩형 인플루엔자
· 마황탕군: 34명
· 오세르타미비르군:18명
· 대증요법군: 9명 |
-A형 소련형에서 마황탕군은 대증요법군보다 발열기간이 짧았음
-A형 홍콩형 오세르타미비르군은 마황탕군 및 대증요법군보다 발열기간이 짧았음
-복용 후 두통, 전신권태감, 식욕부진 등의 전신증상 소실 시간은 해열의 빠름과 늦음에 상관없이 각 군이 정도가 비슷함 |
73
|
- 19명
· 대조군: 9명
· 시험군: 10명 |
- 대조군: 오세르타미비르 + 기타 양약
- 시험군: 오세르타미비르 + 마황탕, 3일 |
- 시험군이 대조군군보다 약 12시간 빨리 해열
- 피로감, 어지럼증, 식욕부진의 경우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빨리 개선
- 혈액학적으로 시험군에서는 CRP 상승이 없으나 알부민 저하가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CRP 상승, GPT상승 이 보였고, 탈수 지표 보임 |
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