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약리작용 한·양약 병용 약리작용 타 한약처방과의 비교 약리작용 약물대사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앨러지 In vitro Labrocyte (mast cell) - C48/80-유발 labrocyte 탈과립 모델 (열성 질환; febrile diseases) · 농도 의존적 탈과립 억제 11 염증 In vivo Mouse (♂,♀) - 마황탕 및 구성 약재 변화에 따른 항염증 효과 · Dimethylbenzene (xylene)-유발 귀부종 억제 효과 (mouse):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 마황 + 계지 + 감초 > 마황 + 계지 ≈ 마황 + 행인 ≈ 마황 + 감초 > 마황 (효과 없음) · 복강 neutrophil (rat) LTB4 생성 억제 효과: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 마황 + 계지 + 감초 > 마황 + 계지 ≈ 마황 + 행인 > 마황 + 감초, 마황 (효과 없음) 21 In vitro Rat (♂), peritoneal neutrophils - 마황탕 및 구성 약재 변화에 따른 항염증 효과 · Dimethylbenzene (xylene)-유발 귀부종 억제 효과 (mouse):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 마황 + 계지 + 감초 > 마황 + 계지 ≈ 마황 + 행인 ≈ 마황 + 감초 > 마황 (효과 없음) · 복강 neutrophil (rat) LTB4 생성 억제 효과: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 마황 + 계지 + 감초 > 마황 + 계지 ≈ 마황 + 행인 > 마황 + 감초, 마황 (효과 없음) In vitro Rat (♂), peritoneal neutrophils - LPS-활성화된 복강 neutrophils (위와 동일한 구성약재) · LTB4 생성 억제: 마황탕이 가장 우수 · Chemotaxis 억제: 마황탕이 가장 우수 22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HIV-1 감염 In vitro HIV-1 infected U1 cell line - HIV-1 잠복 감염된 U1세포 · 잠복 HIV-1 복제 활성화 · NF-κB promoter 활성을 통한 TNF-α 발현 증가 76 신경계통의 질환 신경계통의 질환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자율신경작용 In vivo Rat - SO2 가스 유발 해수 (咳嗽) 모델 (기관지 수축) · 비정상 호흡수 감소 12 중추신경 흥분 In vivo Mouse - Thiopental sodium 투여 마취 모델 · 마취 지속시간 단축 (중주신경 흥분) 12 순환계통의 질환 순환계통의 질환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바이러스성 심근염 In vivo Mouse (♀) - EMC 바이러스 유발 심근염 모델 · 생존율 증가 · 체중 감소 억제 · 심장무게/체중 비율 및 폐무게/체중 비율 증가 억제 · 비장무게/체중 비율 증가 · 심근괴사 수치 감소 → 바이러스 감염과 동시 마황탕 투여보다 2일 후 투여가 더 효과적 13 In vivo Mouse (♀) - EMC 바이러스 유발 심근염 모델 · 바이러스 감염 2일 후 마황탕 투여군의 생존율 증가 · 심장무게/체중 비율, 폐무게/체중 비율 및 흉선/체중 비율증가 억제 · 비장무게/체중 비율 증가 · 심근직경 및 심근 손상 감소 · 심장 조직의 TNF-α 유전자 발현 억제 14 호흡계통의 질환 호흡계통의 질환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기관지 확장 Ex vivo Rat, Guinea pig - Path analysis 모델을 이용한 기관지 평활근 수축 억제작용 분석 · 마황탕의 항수축작용에서 마황과 계지가 중요한 역할 (두 약재의 시너지 효과) 16 천식 In vivo Mouse - 마황탕 및 구성 약재 변화에 따른 항천식 효과: OVA-유발 천식 모델 · 폐조직 내 FLAP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마황 + 계지 + 감초, 마황 + 행인 + 감초, 마황 + 계지 > 마황 + 행인 > 마황 + 감초, 마황 · 폐조직 내 IL-4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마황 + 계지 + 감초 > 마황 + 행인 + 감초, 마황 + 계지 > 마황 + 행인 > 마황 + 감초, 마황 · BALF 중 LTC4 분비 억제: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마황 + 계지 + 감초, 마황 + 계지 (나머지 효과 없음) 15 건강상태 및 보건서비스 접촉에 영향을 주는 요인 건강상태 및 보건서비스 접촉에 영향을 주는 요인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발한작용 In vivo Rat - 마황탕 투여 후 해열 및 발한효과 확인 · 마황탕: 중추신경계 억제시의 체열 감소 (미약), 중추신경계 정상시의 땀샘 분비 증가 (용량 의존적). 발한효과는 낮지만 장시간 작용 18 In vivo Mouse - 마황탕 및 구성 약재 변화에 따른 발한 효과 · 땀샘관 내경 확장: 마황 + 계지 > 마황탕 > 마황 ≫ 계지 > 행인, 감초 (효과 없음) 19 In vitro Rat - 마황탕의 구성 약재 비율에 따른 발한 효과 · 마황과 계지가 포함된 조합에서 발한 효과 우수 · 각 구성 약재보다 마황과 계지가 포함된 조합에서 우수한 발한 효과 20 체온 변화 In vivo Mouse - 정상 생쥐에 투여 후 항문 온도 측정 · 투여 10분 후부터 체온 상승되어 15분에 최고, 이후 감소하여 20분에 정상으로 복귀 후 30분에 정상보다 체온 하락 17 해열 In vivo Rat - Typhoid vaccine 투여 발열 모델 · 해열 작용: 필로카프린 (양성 대조군) 12 열기 접기
질환별 약리작용 한·양약 병용 약리작용 타 한약처방과의 비교 약리작용 약물대사 1) 혈관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기전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염증 In vivo Rat Mouse ▶ 마황탕 + 아스피린 - Carrageenin 유발 족부종 모델 (Rat, 급성염증) · 각각 및 병용 시 부종 억제 - 초산 유발 혈관투과성 모델 · 각각 및 병용 시 부종 억제 24 2) 신경계통의 질환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기전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중추신경계 약물과의 병용 In vivo Rat ▶ 마황탕 + 중추신경계 작용약물 (펜토바비탈 또는 카페인) - 마황탕 + 약물 조합 투여: 간 조직대사 산소소비량 변화 없음 - 마황탕 + 펜토바비탈: 진정작용에 대한 길항작용, 수면시간 단축 - 마황탕 + 카페인: 중추신경 흥분제에 대한 상가작용. 경련상태 상승 23 진통 In vivo Mouse ▶ 마황탕 + 아스피린 - 초산유발 통증 모델 (mouse) · 각각 및 병용 시 부종 억제 24 열기 접기
질환별 약리작용 한·양약 병용 약리작용 타 한약처방과의 비교 약리작용 약물대사 1) 신생물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암 Ex vivo 암세포주 ▶ 마황탕, 십전대보탕, 보중익기탕 - 암세포주 (FBJ-LL)에서 운동성 억제 효능 비교 · 마황탕: 세포운동성 억제 · 십전대보탕, 보중익기탕: 변화 없음 - 한약제제를 투여한 마우스의 혈청을 수집. 수집된 혈청으로 운동성을 유도한 암세포주에서 운동성 억제 효능 비교 · 마황탕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청: 세포운동성 억제 (≥0.1 μg/mL) · 십전대보탕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청: 세포운동성 억제 (≥1000 μg/mL) - FBJ-LL 세포 성장 비교 · 마황탕, 십정대보탕: 고농도 (≥1 mg/mL)에서 성장 저해 · 세포 성장 저해율: 마황탕 > 십전대보탕 77 In vitro Human serum 및 암세포주 ▶ 마황탕, 사군자탕 - 한약제제를 복용한 대상자의 혈청을 수집. 수집된 혈청으로 운동성을 유도한 암세포주 (MDA-MB-231)에서 세포 운동성 억제 효능 비교 · 마황탕을 복용한 대상자의 혈청: 세포 운동성 억제 · 사군자탕을 복용한 대상자의 혈청: 변화 없음 26 In vivo Mouse ▶ 마황탕, 십전대보탕 - 암세포주 (FBJ-LL)를 이식한 마우스 · 마황탕: 암세포의 간 전이율 감소, 유전자 발현 감소 (CTACK, IL-12p70, MCP-5, MIP-2), serum VEGF 증가 · 십전대보탕: 변화 없음 - 암세포주 (FBJ-LL) · 마황탕: 단백질 발현 감소 (MMP-2, MMP-9) 78 In vitro 암세포주 ▶ 마황탕, 십전대보탕, 사군자탕 - Human serum으로 운동성을 유도한 암세포주 (MDA-MB-231)에서 세포 운동성 억제 효능 비교 · 마황탕 (100 μg/mL): 운동성 83% 억제 · 십전대보탕, 사군자탕: 변화 없음 - MDA-MB-231 세포 성장 비교 · 마황탕: 변화 없음 (24, 48시간), 25~100 μg/mL에서 성장억제 (72시간) · 십전대보탕: 변화 없음 (24시간), 25~100 μg/mL 성장억제 (48, 72시간) · 사군자탕: 100 μg/mL에서 성장억제 (48, 72시간) 79 2)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목적 모델 평가 지표 및 치료 효과 참고문헌 염증 In vitro Peritoneal macrophage ▶ 마황 및 마황 배오된 10종 처방 (월비가출탕, 마행감석탕, 신비탕, 마황부자세신탕, 의이인탕, 갈근탕, 마행의감탕, 마황탕, 소청룡탕, 계마각반탕) - LPS-유도 복강 대식세포의 활성화 억제 효과 비교 · NO 생성 억제: 월비가출탕, 마행감석탕, 신비탕, 마황부자세신탕, 의이인탕, 갈근탕, 마행의감탕, 마황탕, 소청룡탕 · NO 생성 억제효과 없음: 마황, 계마각반탕 25 열기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