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국가생명연구자원 천연물 클러스터 한약자원 거점은행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IOM
6,447
보유자원
1,915
문헌자료
NOTICE
25
2021.01
기술지원 신청 방법 안내(시료 감정, 감별기술 교육)
14
2025.03
한약기원사전 업데이트(JP 18)
29
2024.07
전남연구장비정보망(JEINET) 소개
한약기원사전
황산약(黄山药. Huangshanyao 후앙산야오)
Dioscorea Panthaicae Rhizoma
출전: 중국 ChP 2015:300-1.
마과(서여과薯蕷科) 식물 황산약(黃山藥.
Dioscorea panthaica
Prain et Burk.)의 땅속줄기를 말린 것. 가을철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씻어서 절편하여 햇볕에 말린다.
자소경(紫蘇梗)
Perillae Caulis / Perilla Stem
출전: 대만 THP II:244-5.
꿀풀과(순형과唇形科, Labiatae) 식물 자소
[紫蘇.
Perilla frutescens
(L.) Britt.]
의 줄기를 말린 것.
건칠(干漆. Ganqi 깐치)
Toxicodendri Resina
출전: 중국 ChP 2020
옻나무과(칠수과漆樹科) 식물 옻나무(칠수漆樹)
Toxicodendron vernicifluum
(Stokes) F.A.Barkl.의 수지를 가공한 다음 말린 것.
일반적으로 옻을 용기에 채우고 바닥에 가라앉은 옻 앙금을 모아 말린다.
본초사진
인동(忍冬)
한국한의학연구원
천적작
작약(芍藥)
한국한의학연구원
구맥(瞿麥)
한국한의학연구원
본초감별도감
영실(營實)
/
영실(營實) / 찔레꽃
사삼(沙參)
/
사삼(沙參), 양유(羊乳), 제니(薺苨), 해방풍(海防風) / 잔대, 당잔대, 갯방풍, 모시대, 더덕
측백(側柏)
/
백자인(柏子仁), 측백엽(側柏葉) / 측백나무
희렴(豨薟)
/
희렴(豨薟) / 진득찰, 털진득찰
해백(薤白)
/
해백(薤白) / 산달래, 산부추
산약(山藥)
/
산약(山藥), 천산룡(穿山龍) / 마, 참마, 부채마
고문헌
봉밀(蜂蜜)
언해태산집요
臨産預備藥物 임산예비약물 淸蜜 청밀
백강잠(白殭蠶)
동의보감
治小兒客忤, 及臍風撮口口噤. 取二枚爲末, 蜜和付脣內, 卽差. 《本草》 소아가 객오나 제풍으로 입을 오므리고 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강잠 2개를 가루내어 꿀에 개어 입술 안에 바르면 낫는다. 《본초》 동의보감, 雜病篇卷之十一, 小兒, 單方
현대문헌
龟板胶制备工艺改进探讨
王伟; 徐公仆; 郭合新; 石新廷; / 中成药 / Chinese Traditional Patent Medicine / 제 12권 12호 / 1990
귀판(龜板)
/
귀판교의 제조 기술 향상에 관한 토론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potential of Tamarindus indica Linn. (Fabaceae): a narrative review
리차드, 김용구, 마사비사, 강영민 /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8 (2019) 181–186 / 제 8권 181-186호 / 2019
/
아프리카 토속식물 중 하나인 Tamarindus indica 는 고대 인디아인들이 아프리카로 이주하면서 활착된 외래토착식물이다. 염증치료 및 항산화 효과를 기반으로 민간치료제로 활용할수 있으며, 고대 및 현대 문헌연구를 통한 집대성한 리뷰논문이다.
바로가기
한약자원연구센터 소개
천연물클러스터 거점은행
한약기원사전
본초감별도감
K-Herb DNA
한국한의학연구원
중소기업 지원
용어검색
이미지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