鄕名 有殼月乙板伊
향명 유각달판이
味鹹, 寒, 主賊風喎僻, 踠跌, 大賜下脫, 肛節急及驚癎.
맛이 짜고, 약성이 차갑다. 적풍(賊風)으로 인한 구안와사와 발을 헛디뎌 넘어짐, 대장이 항문으로 빠짐, 관절이 수축함과 경간(驚癎)을 치료한다.
陶隱居云 蝸牛, 字是力戈反, 而俗呼爲瓜牛. 生山中及人家. 頭形如蛞蝓, 但背負殼爾. 前以注說之海邊. 又一種正相似, 火灸殼便走出, 食之益顔色, 名爲寄居, 方家旣不復用, 人無取者, 未詳何者的是也. 今注蝸牛條 唐本編在田中螺之後. 今詳, 陶隱居云, 形似蛞蝓, 而背負殼, 唐本註云 蛞蝓乃無殼蝸蠡, 則二種當近似一物, 主療頗同, 今移附蛞蝓之下.
도은거(陶隱居)가 다음처럼 말했다. 와우(蝸牛)는 글자가 력(力)과 과(戈)의 반절이다. 그래서 속칭 과우(瓜牛)라고 한다. 산중과 민가에서 살며, 머리 형태가 활유(蛞蝓)와 같다. 다만 등에 껍질을 지고 다닌다. 앞서 주해(註解)에서 설명한 해변에 또 바로 비슷한 한 종이 있는데, 불로 껍질을 구워야 바로 도망 나온다. 먹으면 안색이 좋아지며 기거(寄居)라고 한다. 처방가에서 이제 다시 쓰지 않으며, 사람들이 잡지 않아서 무엇인지 확실하지 않다. 현재 와우(蝸牛)를 주해(註解)한 조항은 당본(唐本)편의 전라(田螺) 조항 뒤에 있다. 도은거(陶隱居)는 형태는 활유(蛞蝓)같고, 등에 껍질을 진다고 하였고, 《당본주(唐本註)》에서는 활유(蛞蝓)는 껍질이 없으며 와려(蝸蠡)라고 하였다. 두 종류는 비슷한 한 사물처럼 효능도 거의 같다. 지금은 활유(蛞蝓) 아래에 이동해서 붙인다.
藥性論云 蝸牛亦可單用. 又名蠡牛. 有小毒. 能治大腸脫肛. 生硏取服止消渴.
《약성론(藥性論)》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와우(蝸牛)는 한 가지만으로 쓸 수 있다. 또 여우(蠡牛)라고 한다. 약한 독이 있으며, 대장의 탈항(脫肛)을 치료한다. 생으로 갈아서 먹으면 소갈(消渴)을 그치게 한다.
日華子云 冷, 有毒. 入藥炒用, 此卽負殼蜒蚰也.
일화자(日華子)가 다음처럼 말했다. 약성이 차고 독성이 있다. 약으로는 볶아서 쓴다. 이것은 바로 껍질을 지고 다니는 연유(蜒蚰)다.
향약본초, 충어부
오
새우
下品
하품
味甘, 溫, 有小毒.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약간 있다.
詵:小兒赤白遊腫, 搗碎傅之. 治野雞病.
어린이의 적백류종(赤白遊腫)에 찧어서 붙인다. 야계병을 치료한다. 〈맹선〉
時珍:作羹治鼈瘕, 托痘瘡, 下乳汁. 法制, 壯陽道. 煮汁, 吐風痰. 搗膏, 傅虫疽.
국으로 끓여 먹으면 별가를 치료하고, 두창을 밀어내며, 유즙을 돌게 한다. 수치해서 쓰면 양도(陽道)를 강화시킨다. 삶은 즙은 풍담을 토하게 한다. 찧어서 고를 만들어 충저에 붙인다. 〈이시진〉
弘景曰:無鬚及腹下通黑, 幷煮之色白者, 不可食. 小兒及鷄狗食之, 脚屈弱.
수염이 없거나 배 아래가 모두 검은 것ㆍ끓였을 때 하얗게 되는 것은 먹을 수 없다. 소아나 닭ㆍ개가 먹으면 다리가 구부러지고 약해진다. 〈도홍경〉
鼎曰:動風, 發瘡疥冷積.
풍을 동하게 하고 피부병이나 냉적을 일으킨다. 〈장정〉
藏器曰:同熱飯作鮓, 毒人至死.
뜨거운 밥과 섞어 젓을 담그면 사람이 죽을 정도의 독이 있다. 〈진장기〉
詵曰:生水田及溝渠者, 有毒.
무논 및 도랑에서 난 것은 독이 있다. 〈맹선〉
인부(鱗部) 어류(魚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