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명연구자원 천연물 클러스터 한약자원 거점은행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IOM
한약기원사전
  • 삼칠(三七. Sanqi 싼치)
  • Notoginseng Radix et Rhizoma
    출전: 중국 ChP 2020:12-3.
  • 두릅나무과(오가과五加科) 식물 삼칠(三七) Panax notoginseng (Burk.) F.H.Chen의 뿌리와 땅속줄기를 말린 것.
    가을철에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원뿌리와 곁뿌리 및 땅속줄기를 나누어 말린다. 관습적으로 곁뿌리를 "근조(筋條)", 땅속줄기를 "전구(剪口)"라고 부른다.
  • 율초(葎草)
  • Humuli Herba
    출전: 한국 KHP,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1-64호(2021.07.29), 의약품각조 제1부
  • 이 약은 한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et Zuccarini (뽕나무과 Moraceae)의 지상부이다.
  • 반하(半夏)
  • Pinelliae Rhizoma / Pinellia Tuber
    출전: 대만 THP II:60-1.
  •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 식물 반하[半夏. Pinellia ternata (Thunb.) Breit.]의 덩이줄기를 말린 것.
고문헌
  • 백경구인(白頸蚯蚓)
  • 향약집성방
  • 味鹹, 寒(大寒), 無毒. 主蛇瘕瘠, 去三蟲伏尸, 鬼疰蠱毒, 殺長蟲, 仍自化作水, 療傷寒, 伏熱狂謬, 大腹黃疸. 一名土龍. 生平土. 三月取, 陰乾. 맛이 짜고, 약성이 차갑고(아주 차갑다), 독성이 없다. 사가(蛇瘕)로 몸이 마를 때 치료한다. 삼충(三蟲)과 복시(伏尸)를 없애고, 귀주(鬼疰)와 고독(蠱毒)을 치료한다. 장충(長蟲)을 죽이면, 물로 변화한다. 상한병(傷寒病)과 잠복열(潛伏熱)로 미치고 배가 차오르며 황달을 치료한다. 일명 토룡(土龍)이라고 한다. 평평한 땅에서 서식한다. 음력 3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陶隱居云 白頸者, 是其老者爾. 取破去土鹽之, 日曝, 須臾成水, 道術多用之. 溫病, 大熱狂言, 飮其汁皆差. 與黃龍湯療同也. 其屎呼爲蚓螻, 食細土, 無沙石, 入合丹泥釜用. 若服此乾蚓應熬作屑, 去蚘蟲甚有驗. 도은거(陶隱居)가 다음처럼 말했다. 목이 흰 것은 늙은 지렁이다. 잡아서 터뜨려 흙을 버리고 소금에 절여서 햇볕에 쪼이면 금방 물이 된다. 도술(道術)에서 많이 썼다. 온병(溫病), 심한 열과 광언(狂言)에 이 즙을 마시면 낫는다. 황룡탕(黃龍湯)과 효능이 같다. 똥을 인루(蚓螻)라고 하는데, 고운 흙을 먹어서 모래와 돌이 없다. 단약(丹藥)을 만드는 솥에 진흙처럼 합하는 데에 쓴다. 말린 지렁이를 볶아서 가루 내어 먹으면 회충을 없애는 데에 아주 유효하다. 唐本註云 別錄云 鹽霑爲汁, 療耳聾, 鹽消蚘, 功同蚯蚓. 其屎封狂犬傷毒, 出犬毛神効. 《당본주(唐本註)》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별록(別錄)》에서 소금을 치면 즙이 되며, 이것으로 이롱(耳聾)을 치료한다고 했다. 소금으로 회충을 녹이는 것처럼 지렁이도 녹인다. 똥은 광견에 물린 독에 붙이면 개털이 나오며, 신효하다. 蜀本註云 解射罔毒. 《촉본주(蜀本註)》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사망(射罔)의 독을 해소한다. 藥性論云 蚯蚓亦可單用, 有小毒, 乾者熬末用之, 主蛇傷毒. 一名地龍子. 《약성론(藥性論)》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구인(蚯蚓)은 단방으로 쓸 수 있다. 약한 독이 있고, 말린 것을 볶고 분말하여 쓴다. 뱀에 물린 독을 치료한다. 일명 지룡자(地龍子)라고 한다. 日華子云 蚯蚓, 治中風幷癎疾, 治喉痺, 蛇蟲傷. 又名千人踏, 卽是路行人踏殺者. 入藥燒用. 일화자(日華子)가 다음처럼 말했다. 구인(蚯蚓)은 중풍과 전질(癲疾)을 치료한다. 후비(喉痺)와 뱀과 벌레에 물린 데 치료한다. 또 천인답(千人踏)이라 하는데, 길에서 사람에 밟혀 죽은 것이다. 약으로는 구워서 쓴다. 陳藏器云 蚯蚓糞土, 療赤白久熱痢, 取無沙者末一升, 炒令烟盡, 水沃取半大升濾去麤滓, 空肚服之. 진장기(陳藏器)는 다음처럼 말했다. 구인(蚯蚓)이 사는 똥이 섞인 흙은 적백(赤白)의 만성 열리(熱痢)를 치료한다. 모래가 없는 것을 취하여 분말로 만들어 1되를 볶아서 연기가 다 나오게 한다. 물을 반 큰 되를 붓고 걸러서 찌꺼기를 없애고, 공복에 먹는다. 향약본초, 충어부(蟲魚部) 하품(下品)
  • 별갑(鱉甲)
  • 의감중마
  • 鼈甲鹹平, 寒熱痎瘧, 除痞散堅, 陰蝕去惡. 별갑은 맛이 짜고 성질은 평하다. 한열과 해학을 치료하며 비증을 제거하고 굳은 것을 흩어주며, 음부가 헐고 가려운 음식창에 쓴다. 자겁지 자라의 껍질 제2권 약성가
현대문헌
용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