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명연구자원 천연물 클러스터 한약자원 거점은행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IOM
한약기원사전
  • 소회향(小茴香. Xiaohuixiang 샤오후이시앙)
  • Foeniculi Fructus
    출전: 중국 ChP 2020
  • 산형과(傘形科) 식물 회향(茴香) Foeniculum vulgare Mill.의 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가을철에 열매가 익기 시작할 때 식물체를 베어 햇볕에 말리고, 열매를 떨어내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 은행잎
  • Folium Ginkgo
    출전: 북한 DPRKP 8:592-3.
  • 이 약재는 은행나무 Ginkgo biloba Line(은행나무과 Ginkgoaceae)의 잎이다.
    8~9월에 잎을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
  • 부소맥(浮小麦)

  • 출전: 중국 ChP 2015(부록):422.
  • 벼과(화본과禾本科) 식물 밀(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의 바싹 말라 물에 뜨는 열매를 말린 것.
고문헌
  • 귀육(龜肉)
  • 동의보감
  • 除濕及瘴氣. 作臛常食之佳. 《本草》 습이나 장기(瘴氣)를 없앤다. 고깃국을 끓여 늘 먹는 것이 좋다. 《본초》 동의보감, 雜病篇卷之三, 濕, 單方
  • 석결명(石決明)
  • 동의보감
  • 포겁질 생포(전복) 껍질 性平, 味鹹, 無毒. 主靑盲, 內障, 肝肺風熱, 目中障瞖.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짜며 독이 없다. 청맹·내장(內障) 그리고 간폐의 풍열로 눈에 예막이 생긴 데 주로 쓴다. 鰒魚甲也. 一名九孔螺, 一名千里光. 生東南海中, 以七孔九孔者爲良. 採無時. 眞珠母也. 內亦含珠. 전복의 껍질을 말한다. 구공라(九孔螺) 또는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 동남해에서 사는데, 구멍이 7개 또는 9개인 것이 좋다. 아무 때나 잡는다. 이것도 진주모(眞珠母)이기 때문에 속에 진주 같은 것을 머금고 있다. 麪裹熟煨, 或鹽水煮一伏時, 然後磨去外黑皺皮了, 細硏如麪, 方堪用.《本草》 밀가루 반죽에 싸서 잿불에 굽거나 소금물에 만 하룻동안 삶은 후, 주름진 검은 외피를 갈아 없애고 밀가루처럼 곱게 갈아야 비로소 쓸 수 있다.《본초》 탕액편, 충부
현대문헌
용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