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명연구자원 천연물 클러스터 한약자원 거점은행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IOM
한약기원사전
  • 복령(茯苓)
  • Poria / Indian Bread
    출전: 대만 THP II:215-6.
  • 구멍장이버섯과(다공균과多孔菌科, Polyporaceae) 진균인 복령[茯苓. Poria cocos (Schw.) Wolf]의 균핵을 말린 것.
  • 길초근가루
  • Pulvis Valerianae Radicis et Rhizomatis / Valerian Powder
    출전: 한국 KHP,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1-64호(2021.07.29), 의약품각조 제1부
  • 이 약은 「길초근」을 가루로 한 것이다.
  • 양두첨(两头尖. Liangtoujian 리앙토우지앤)
  • Anemones Raddeanae Rhizoma
    출전: 중국 ChP 2015:168-9.
  • 미나리아재비과(모간과毛茛科) 식물 꿩의바람꽃(다피은련화多被銀蓮花. Anemone raddeana Regel)의 땅속줄기를 말린 것. 여름철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씻어서 말린다.
고문헌
  • 와(䵷)
  • 향약집성방
  • 鄕名 未仇里 향명 미구리 味甘, 寒, 無毒. 主小兒赤氣, 肌瘡臍傷, 止痛, 氣不足. 一名長股, 生水中, 取無時. 맛이 달고, 약성이 차갑고, 독성이 없다. 소아의 적기(赤氣), 살결의 창(瘡), 배꼽 손상을 치료하고, 통증을 그치게 하며, 기의 부족함을 보(補)한다. 일명 장고(長股)라고 한다. 물속에 살며, 수시로 채취한다. 圖經曰 似蝦蟆而背靑綠色, 俗謂之靑蛙. 亦有背作黃紋者, 人謂之金線䵷. 《도경(圖經)》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두꺼비와 비슷한데, 등이 청록색(靑綠色)이다. 속칭 청와(靑蛙)라고 한다. 등에 노란 무늬가 있는 것도 있으며, 사람들이 금선와(金線䵷)라고 한다. 陶隱居云 蜂蟻䵷蟬, 其類最多, 大腹而脊靑者, 俗名土鴨, 其鳴甚壯, 卽爾雅所謂在水曰䵷者是也, 黑色者南人呼爲蛤子, 食之至美, 卽今所謂之蛤, 亦名水雞是也. 閩, 蜀, 浙東人以爲珍饌. 彼人云食之補虛損, 尤宜産婦, 卽此也. 小形善鳴喚者, 名䵷子, 卽藥中所用䵷是也. 其餘螻蟈, 長股蠷子之類, 非藥中所須, 不復悉載爾. 도은거(陶隱居)가 다음처럼 말했다. 벌, 개미, 개구리, 매미는 종류가 가장 많다. 배가 크고 등이 푸른 것을 속칭 토압(土鴨)이라고 하는데, 우는 소리가 우렁차다. 《이아(爾雅)》에서 말하는 물에 있는 '와(䵷)'라는 말이 이것이다. 검은색은 남쪽사람들이 합자(蛤子)라고 하는데, 먹으면 아주 맛이 좋다. 지금 말하는 합(蛤)이다. 또 수계(水雞)라고도 한다. 민(閩), 촉(蜀), 절동(浙東)지역 사람들은 진귀한 반찬으로 여긴다. 그 사람들은 먹으면 허손(虛損)을 보(補)하며, 산모에 더 적합하다고 한다. 몸이 작고 잘 우는 것을 와자(䵷子)라고 하는데, 약으로 쓰는 개구리가 이것이다. 나머지 누국(螻蟈), 장고(長股), 고자(蠷子) 종류는 약으로 쓰지 않는다. 여기에 기록하지 않는다. 향약본초, 충어부(蟲魚部) 하품(下品)
  • 별갑(鱉甲)
  • 향약집성방
  • 味醎, 平, 無毒, 主心腹癓瘕, 堅積寒熱, 去痞息肉, 陰蝕痔核惡肉. 療溫瘧, 血瘕腰痛, 小兒脇下堅. 肉, 味甘, 主傷中益氣, 補不足. 生池澤, 取無時, 惡礬石. 맛이 짜고, 약성이 평이하고, 독성이 없다. 심복(心腹)의 징가(癓瘕), 견적(堅積)과 한열(寒熱)을 치료하고, 비증(痞症)과 식육(息肉)을 없애고, 음식(陰蝕)과 치핵(痔核)과 악육(惡肉)을 치료한다. 온학(溫瘧), 혈가(血瘕)와 요통, 소아의 옆구리 아래 단단한 것이 생긴 증상을 치료한다. 자라 고기는 맛이 달고, 중초(中焦) 손상을 치료하고, 기를 보익(補益)하고, 부족함을 보(補)한다. 연못에서 나며, 수시로 채취한다. 반석(礬石)을 상오(相惡)한다. 陶隱居云 生取甲, 剔去肉爲好, 不用煮脫者. 今看有連厭及乾巖便好, 若上有甲, 兩邊骨出, 巳被煮也, 用之當灸, 夏月剉鱉, 以赤莧包, 置濕地, 則變化生鱉. 人有裹鱉甲屑, 經五月皆能變成鱉子, 此其肉亦不足食, 多作癥瘕, 其目陷者, 合雞子食之殺人, 不可合莧菜食之. 其腹下有如王字形者, 有毒, 亦不可食. 도은거(陶隱居)가 다음처럼 말했다. 산채로 갑(甲)을 채취하고, 살을 발라내는 게 좋다. 삶아서 떨어진 것은 쓰지 않는다. 지금 보건대 염(厭)이 이어져 있고, 말라서 단단하면 좋다. 만약 위에 등딱지가 있고 양쪽에 뼈가 나오면 이미 삶았던 것이다. 쓸 때 굽는다. 여름철에 자라를 썰고 붉은 비름으로 싸서 습지에 놓아두면 변해서 자라가 생긴다. 사람들이 자라를 싸서 등딱지를 가루내면, 5월이 지나면 모두 자라새끼로 변한다. 이 고기는 먹기에 부족하니, 징가(癥瘕)를 많이 생기게 한다. 눈이 움푹 들어간 것을 달걀과 같이 먹으면 살인하며, 현채(莧菜)와 같이 먹으면 안 된다. 배딱지에 왕(王)자 모양이 있으면, 독이 있으므로 먹으면 안 된다. 唐本註云 鱉頭, 燒爲灰, 主小兒諸疾. 又主産後陰脫下墜, 尸疰心腹痛. 《당본주(唐本註)》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자라 머리를 태워서 재로 만들면 소아의 각종 질병을 치료한다. 또 산후 자궁이 빠진 증상, 시주(尸疰), 심복통(心腹痛)을 치료한다. 陳藏器本草云 頷下有軟骨如龜形, 食之則令人患水病. 《진장기본초(陳藏器本草)》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턱 아래 연골은 거북이 모양이다. 먹으면 수병(水病)을 앓게 한다. 蜀本云 以綠色仍重七兩巳上者, 置醋五升於中, 緩火逼之令醋盡, 然後去裙, 搗入藥. 《촉본(蜀本)》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녹색(綠色)이며 무거워서 7냥 이상 나가는 것을 식초 5되에 넣고, 약한 불로 가열하여 식초를 다 없앤 후 가장자리를 없애고, 찧어서 약에 넣는다. 藥性論云 鱉甲, 使, 能主宿食, 癥塊痃癖, 氣冷瘕勞瘦, 下氣, 除骨熱, 骨節間勞熱, 結實擁塞. 《약성론(藥性論)》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자라의 등딱지는 사약(使藥)으로 쓴다. 묵은 음식, 징괴(癥塊)와 현벽(痃癖), 기가 차가운 증상, 과로로 몸이 마름을 치료하고, 기를 내리며, 골열(骨熱)과 골절 사이의 과로로 인한 발열을 없애고, 맺혀서 막힌 증상을 치료한다. 孟詵云 鱉, 主婦人漏下, 羸瘦. 中春食之美, 夏月有少腥氣, 赤足不可食, 殺人. 맹선(孟詵)이 다음처럼 말했다. 자라는 부인의 누하(漏下)와 파리하게 여윔을 치료한다. 봄철이 한창일 때에 먹으면 맛이 좋다. 여름철에는 약간 비린내가 난다. 붉은 다리는 먹으면 안 되니, 사람을 죽게 하기 때문이다. 圖經曰 鱉, 今處處有之, 其甲有九肋者爲勝. 取無時. 古今治瘕癖虛勞方中用之最多. 婦人漏下五色羸瘦者, 燒甲令黃色, 篩末, 酒服方寸匙, 日二. 又醋灸令黃, 搗末以牛乳一合, 調一匙, 朝日服之. 主痃氣. 其肉食之亦益人, 補虛去血熱, 但不可久食則損人. 以其性冷耳, 當胸前有軟骨謂之醜, 食當去之. 又其頭足不能縮及獨目者, 並大毒, 亦不可食, 食之殺人. 《도경(圖經)》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자라는 현재 도처에 있다. 등딱지에 9개 갈비가 있는 게 낫다. 수시로 채취한다. 고금으로 가벽(瘕癖)과 허로(虛勞)를 치료하는 처방에 가장 많이 썼다. 부인이 오색(五色) 누하(漏下)를 하고, 몸이 여윈 환자는 등딱지를 누렇게 태우고 체로 걸러 분말을 만들어 술로 한 촌 숟가락씩 하루 2회 먹는다. 또 식초를 발라 노랗게 구워서 찧고 분말을 만들어 우유 1홉에 한 숟가락 타서 아침에 먹으면 현기(痃氣)를 치료한다. 자라 고기를 먹으면 사람에게 유익하니, 허(虛)를 보(補)하고, 혈열(血熱)을 없앤다. 다만 오래 먹으면 사람을 손상시키는데, 성질이 차갑기 때문이다. 가슴 앞에 있는 연골을 추(醜)라고 하는데, 먹을 때 제거한다. 또 머리와 다리를 움츠리지 못하고 눈이 하나인 자라는 큰 독이 있으므로 먹으면 안 된다. 먹으면 사람을 죽게 하기 때문이다. 향약집성방, 충어부(蟲魚部) 중품(中品)
현대문헌
용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