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명 구성 효능 및 주치 처방명 - 처방명, 한자, 영어(한국), 영어(중국), 영어(일본) 처방명 한자 영어(한국) 영어(중국) 영어(일본) 향사육군자탕 香砂六君子湯 Hyangsayukgunja-tang Xiangshaliujunzi-tang Kosharikkunshi-to 열기 접기
처방명 구성 효능 및 주치 시대별 구성 문헌조사결과 다운로드 시대별 구성 - 시대, 년도, 서적명, 약재(g) 시대 년도 서적명 약재(g) 향부자 백출 복령 반하 진피 백두구 후박 사인 인삼 목향 익지 감초 생강 대조 곽향 명대 1549 명의잡저 1) ○ 2錢 2錢 ○ ○ - - ○ 2錢 - - 1錢 - - ○ 청대 1682 의방집해 2) ○ 2錢 2錢 ○ - - - ○ 2錢 - - 1錢 - - - 조선 1613 동의보감 3)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5分 5分 5分 5分 5分 3片 2枚 - 1724 의문보감 4)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5分 5分 5分 5分 5分 - - - 1885 방약합편 5)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5分 5分 5分 5分 5分 - - - 1901 동의수세보원 6)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1錢 5分 5分 5分 5分 5分 - - - 한국 1999 방제학4 7) 6 g 9 g 9 g 9 g 6 g - - 6 g 10 g - - 6 g 6 g 2 g - 한약제제 한약제제 - 국가, 제형, 약재(g), 비고 국가 제형 약재(g) 비고 해당자료 없음 열기 접기
처방명 구성 효능 및 주치 효능 및 주치 검색결과 다운로드 효능 및 주치 - 효능, 주치, 설진단, 맥상, 참고문헌 효능 주치 설진단 맥상 참고문헌 건비화위 (健脾和胃), 이기지통 (理氣止痛) 비위기허 (脾胃氣虛)로 한습 (寒濕)이 중초 (中焦)에 저체 (阻滯)하여 식욕부진 (食慾不振), 애기 (噯氣), 완복창만 (脘腹脹滿) 및 동통 (疼痛)하고, 구토설사 (嘔吐泄瀉) 등의 증상 - - 7 열기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