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주제별검색 기관별검색

吉益東洞이 사용한 人蔘 考察을 통한 傷寒論 處方에서 人蔘의 運用에 대한 小考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inseng in the Prescriptions of Shanghanlun in Consideration of Todo Yoshimasu"s Usage

김종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오준호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吉益東洞이 사용한 人蔘 考察을 통한 傷寒論 處方에서 人蔘의 運用에 대한 小考 - 저널명, 기관명, ISSN, 발행일, 권호, 페이지, 조회수, ISBN 정보 안내
저널명 腹治醫學會誌  기관명 腹治醫學會出版局 
ISSN 2005-7377  발행일 2009-12-15 
권호 제 1권 제 1호  페이지 43-55 
조회수 398  ISBN  

초록

한글초록

한글 초록 없음

영어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rigin pl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inseng in Yakucho(藥徵) and Shanghanlun(傷寒論).
Method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ibliographies about ginseng were examined.
Results :
1. Ginseng used by Todo Yoshimasu(吉益東洞) in 18th century Japan was Goshuginseng(御種人蔘) which is Panax Ginseng such as Korea Ginseng. This one is bitter and effective in epigastric distress and hardness.
2. The purpose of ginseng in Shanghanlun compared with other medical books shows a big difference. Contemporarily, Ginseng is used to improve general vitality, strengthen spleen and stomach, and promote production of the body fluid. On the other hand, ginseng was taken to cure the epigastric distress and hardness in Shanghanlun.
3. When using the prescriptions in Shanghalun, the purpose of ginseng is curing the epigastric distress and hardness. Hence, we must find which ginseng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is effective to cure the epigastric distress and hardness
Conclusions :
When using the prescriptions in Shanghanlun, the purpose of ginseng is curing the epigastric distress and hardness.

열기 접기

참고문헌

이 논문의 참고문헌이 17 건이 있습니다.

1. 민족의학신문사, 編, 임상의를 위한 상한론 강좌, 민족의학신문사 (2009-09)
2. 安珍均, 韓國蔘業에 關한 地理學的 考察, 동국지리 (1983), Vol -4, 64
3. 안상우, 고의서산책153 和漢人蔘考2, 민족의학신문 (2003-04-21)
4. 차웅석, 18세기 조선통신사를 통한 한일의학문화교류,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09-19), Vol 20-6, 1422-1423oasis
5. 廖育群, 古方派的代表人物吉益東洞, 대한경락진단학잡지 (2005-02), 158-180
6. 吉益東洞, 藥徵, 청홍 (2007), 116-127
7. 金洪哲, 日本의 人蔘産地形成에 關한 硏究, 동국대학교논문집 (1978), Vol 17, 230, 236, 237-238
8. 김세은, 朝鮮人蔘耕作記 해제,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EJ/HEJ_NODEVIEW.jsp?setid=299268&pos=0&type=HEJ&ptype=1ist&subtype=jg&1c1ass=10&cn=GE44080_00
9. 김중권, 朝鮮人蔘耕作記 해제,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search/web_search/search/detail.php
10. 唐愼微, 中國醫學大系8 證類本草, 여강출판사
11. 김성훈, 김동희, 이태영, 人蔘의 本草 및 약리 효능과 향후 연구 방향, 고려인삼학회지 (1998-11), Vol 23-1, 28-32
12. 안덕균, 氣味論에서 본 人蔘의 效能, 본초분과학회지 (1992), Vol 7, 30
13. 이재원, 신진봉, 이승희 외 1 명, 藥徵과 類聚方을 통한 張仲景의 傷寒論에서의 人蔘活用에 관한 考察,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07-26), Vol 21-5, 1062-1063
14. 許浚, 東醫寶鑑, 남산당 (1975)
15. 안상우, 고의서산책295 朝鮮人蔘耕作記, 민족의학신문 (2006-06-09)
16. 이성식, 인삼재배 연구, KT&G 중앙연구원 (2007-09), 4-6
17. 李永鶴, 조선후기 상품작물의 재배, 외대사학 (1993), Vol 5-1

열기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