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약재백과 상세보기 | OASIS 전통의학정보포털
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OASIS 전통의학
정보포털


약재백과 상세보기

한약재기본검색약재백과 상세보기

단삼,丹參,Salviae Miltiorrhizae Radix

약성

약성 - 항목, 내용, 참고문헌
항목 내용 참고문헌
약용부위 뿌리(根) 18
약성가 丹蔘味苦生新能 破積調經除帶崩 1
성미 苦微寒 8
귀경 心肝 8
장부보사 -
효능분류 活血祛瘀藥活血祛瘀藥 8

인경

인경 - 항목, 참고문헌
항목 참고문헌
-

체질배속

체질배속
항목 참고문헌
-

효능 및 관련처방

활혈거어(活血祛瘀), 양혈소옹(凉血消癰), 제번안신(除煩安神), 조경지통(調經止痛)

효능 및 관련처방 - 효능, 관련처방, 구성약재, 참고문헌
효능 관련처방 구성약재 참고문헌
활혈거어(活血祛瘀) 격하축어탕(膈下逐瘀湯) 감초(甘草), 당귀(當歸), 도인(桃仁), 모단피(牡丹皮), 오령지(五靈脂), 오약(烏藥), 적작약(赤芍藥), 지각(枳殼), 천궁(川芎), 향부자(香附子), 현호색(玄胡索), 홍화(紅花) 16
활혈거어(活血祛瘀) 계명산(鷄鳴散) 당귀미(當歸尾), 大黃酒蒸[대황(大黃)], 도인(桃仁) 11
활혈거어(活血祛瘀) 관심이호방(冠心二號方) 강향(降香), 단삼(丹蔘), 적작약(赤芍藥), 천궁(川芎), 홍화(紅花) 16
활혈거어(活血祛瘀) 궁외잉방(宮外孕方) 단삼(丹蔘), 도인(桃仁), 삼릉(三稜), 아출(莪朮), 적작약(赤芍藥) 16
활혈거어(活血祛瘀) 단삼음(丹蔘飮) 단삼(丹蔘), 단향(檀香), 사인(砂仁) 16
활혈거어(活血祛瘀)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당귀(當歸), 대황(大黃), 망초(芒硝), 지실(枳實), 후박(厚朴) 13
활혈거어(活血祛瘀) 복원활혈탕(復元活血湯) 감초(甘草), 과루근(瓜蔞根), 당귀(當歸), 大黃酒浸[대황(大黃)], 桃仁酒浸_去皮尖_硏如泥[도인(桃仁)], 시호(柴胡), 穿山甲炮[천산갑(穿山甲)], 홍화(紅花) 16
활혈거어(活血祛瘀) 서황환(犀黃丸) 沒藥去油硏極細末[몰약(沒藥)], 사향(麝香), 우황(牛黃), 乳香去油硏極細末[유향(乳香)], 黃米飯[황미(黃米)] 16
활혈거어(活血祛瘀)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 乾薑炒[건강(乾薑)], 당귀(當歸), 몰약(沒藥), 소회향(小茴香), 오령지(五靈脂), 육계(肉桂), 적작약(赤芍藥), 천궁(川芎), 포황(蒲黃), 현호색(玄胡索) 16
활혈거어(活血祛瘀) 신선구기탕(神仙九氣湯) 감초(甘草), 강황(薑黃), 향부자(香附子) 13
활혈거어(活血祛瘀) 신선침사원(神仙沈麝元) 감초(甘草), 목향(木香), 몰약(沒藥), 사향(麝香), 주사(朱砂), 침향(沈香), 혈갈(血竭) 13
활혈거어(活血祛瘀) 실소산(失笑散) 오령지(五靈脂), 포황(蒲黃) 13
활혈거어(活血祛瘀) 실소산(失笑散) 五靈脂酒硏_淘去砂土[오령지(五靈脂)], 蒲黃炒香[포황(蒲黃)] 16
활혈거어(活血祛瘀) 실소산(失笑散) 오령지(五靈脂), 蒲黃炒[포황(蒲黃)] 11
활혈거어(活血祛瘀) 윤장환(潤腸丸) 강활(羌活), 당귀미(當歸尾), 大黃去皮[대황(大黃)], 桃仁去皮[도인(桃仁)], 마인(麻仁) 16
활혈거어(活血祛瘀)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감초(甘草), 길경(桔梗), 당귀(當歸), 도인(桃仁), 생지황(生地黃), 시호(柴胡), 우슬(牛膝), 적작약(赤芍藥), 지각(枳殼), 천궁(川芎), 홍화(紅花) 16
활혈거어(活血祛瘀)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감초(甘草), 길경(桔梗), 당귀(當歸), 도인(桃仁), 생지황(生地黃), 시호(柴胡), 우슬(牛膝), 적작약(赤芍藥), 지각(枳殼), 천궁(川芎), 홍화(紅花) 11
활혈거어(活血祛瘀)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감초(甘草), 길경(桔梗), 당귀(當歸), 도인(桃仁), 생지황(生地黃), 시호(柴胡), 우슬(牛膝), 적작약(赤芍藥), 지각(枳殼), 천궁(川芎), 홍화(紅花) 13
활혈거어(活血祛瘀)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단삼(丹蔘), 당귀(當歸), 生明沒藥[몰약(沒藥)], 生明乳香[유향(乳香)] 16

열기 접기

주치 및 관련처방

월경부조(月經不調), 통경(痛經), 경폐(經閉), 심복동통(心腹疼痛), 징하적취(癥瘕積聚), 열비종통(熱痺腫痛), 열인관혈(熱人管血), 번조불안(煩躁不安), 심번실면(心煩失眠), 옹창종독(癰瘡腫毒), 부타손상(趺打損傷), 산후어체복통(産後瘀滯腹痛)

주치 및 관련처방 - 효능, 관련처방, 구성약재, 참고문헌
주치 관련처방 구성약재 참고문헌
월경부조(月經不調) 흑석단(黑錫丹) 金鈴子蒸去皮核[오미자(五味子)], 木香不見火[목향(木香)], 附子炮去皮臍[부자(附子)], 陽起石酒煮_一日_焙乾硏[양기석(陽起石)], 유황투명자_배_사자(硫黃透明者_焙_砂子), 肉桂不見火者[육계(肉桂)], 肉豆蔲麵裹煨[육두구(肉豆蔲)], 침향부견화(沈香不見火), 破故紙酒浸炒[보골지(補骨脂)], 胡蘆巴酒浸炒[호로파(胡蘆巴)], 회향박상자초(茴香舶上者炒), 黑錫去滓淨稱[흑석(黑錫)] 16
통경(痛經)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甘草炙[감초(甘草)], 계지(桂枝), 대황(大黃), 桃核去皮尖[도인(桃仁)], 망초(芒硝) 16
통경(痛經) 통어전(通瘀煎) 당귀미(當歸尾), 목향(木香), 산사(山楂), 천태오약(天台烏藥), 청피(靑皮), 택사(澤瀉), 향부자(香附子), 홍화(紅花) 16
경폐(經閉)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감초(甘草), 당귀(當歸), 白芍藥酒炒[백작약(白芍藥)], 백지(白芷), 백출(白朮), 蓬朮醋炒[아출(莪朮)], 三稜醋炒[삼릉(三棱)], 숙지황(熟地黃), 시호(柴胡), 지각(枳殼), 진피(陳皮), 천궁(川芎), 청피(靑皮), 축사(縮砂), 香附醋炒[향부자(香附子)], 현호색(玄胡索), 홍화(紅花), 황금(黃芩), 회향염수초(茴香鹽水炒) 11
경폐(經閉) 통어전(通瘀煎) 당귀미(當歸尾), 목향(木香), 산사(山楂), 천태오약(天台烏藥), 청피(靑皮), 택사(澤瀉), 향부자(香附子), 홍화(紅花) 16
심복동통(心腹疼痛)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단삼(丹蔘), 당귀(當歸), 생몰약(生沒藥), 생유향(生乳香) 3
징하적취(癥瘕積聚)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단삼(丹蔘), 당귀(當歸), 生明沒藥[몰약(沒藥)], 生明乳香[유향(乳香)] 16
번조불안(煩躁不安)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 山梔子[치자(梔子)], 우황(牛黃), 울김(鬱金), 주사(朱砂), 황금(黃芩), 황련(黃連) 16
월경부조(月經不調) 단치소요산(丹梔逍遙散) 甘草微炙赤[감초(甘草)], 當歸去苗銼_微炒[당귀(當歸)], 모단피(牡丹皮), 백작(白芍), 백출(白朮), 茯苓去皮_白者[복령(茯苓)], 柴胡去苗[시호(柴胡)], 치자(梔子) 16
월경부조(月經不調)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 당귀(當歸), 도인(桃仁), 생지황(生地黃), 적작약(赤芍藥), 천궁(川芎), 홍화(紅花) 11
월경부조(月經不調) 소요산(逍遙散) 감초(甘草), 당귀(當歸), 맥문동(麥門冬), 박하(薄荷), 백복령(白茯苓), 백작약(白芍藥), 백출(白朮), 생강(生薑), 시호(柴胡), 혹가_황련_산수유(或加_黃連_山茱萸) 15
월경부조(月經不調) 소요산(逍遙散) 감초(甘草), 당귀(當歸), 맥문동(麥門冬), 박하(薄荷), 백복령(白茯苓), 백작약(白芍藥), 백출(白朮), 생강(生薑), 시호(柴胡) 17
월경부조(月經不調) 소요산(逍遙散) 甘草微炙赤[감초(甘草)], 當歸去苗銼_微炒[당귀(當歸)], 백작(白芍), 백출(白朮), 茯苓去皮_白者[복령(茯苓)], 柴胡去苗[시호(柴胡)] 16
월경부조(月經不調) 소요산(逍遙散) 감초(甘草), 강(薑), 당귀(當歸), 맥문동(麥門冬), 박하(薄荷), 白茯[복령(茯苓)], 백작(白芍), 백출(白朮), 시호(柴胡) 11
월경부조(月經不調) 연호색산(延胡索散) 강황(薑黃), 당귀(當歸), 목향(木香), 몰약(沒葯), 유향(乳香), 육계(肉桂), 炙甘草[감초(甘草)], 적작약(赤芍藥), 蒲黃炒[포황(蒲黃)], 현호색(玄胡索) 16

열기 접기

동의보감

동의보감 - 원문, 번역
원문 번역

性微寒[一云平], 味苦, 無毒.

성질이 약간 차고[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 독이 없다.

治脚軟疼痺, 四肢不遂. 排膿止痛, 生肌長肉, 破宿血, 補新血, 安生胎, 落死胎. 調婦人經脈不勻, 止崩漏帶下.

다리가 연약하면서 저리고 아픈 것과 사지를 가누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고름을 빼고 통증을 멎게 하며, 살지게 하고 오래된 어혈을 깨뜨리며, 새로운 혈을 보하고 태를 든든하게 하며, 사태(死胎)를 나오게 한다. 부인의 월경이 고르지 못한 것을 고르게 하고 붕루와 대하를 멎게 한다.

莖葉如薄荷而有毛. 三月開花紅紫色. 根赤大如指, 長尺餘, 一苗數根. 九十月採根, 暴乾.『本草』

줄기와 잎은 박하와 비슷한데 털이 있고, 3월에 홍자색의 꽃이 핀다. 뿌리는 붉은색으로 손가락만 하고 길이가 1자 남짓한데, 싹 하나에 뿌리가 여럿 달려 있다. 9~10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본초』

酒浸服, 可逐奔馬, 故又名奔馬草. 酒洗, 曬乾用.『入門』

술에 담갔다가 먹으면 달리는 말을 좇아갈 수 있어서 분마초(奔馬草)라고도 한다. 술에 씻었다가 볕에 말려 쓴다.『입문』

경악전서

경악전서 - 원문, 번역
원문 번역

味微苦微甘微澁, 性微凉, 無毒. 反藜蘆.

맛은 약간 쓰고 약간 달며 약간 떫다. 성질은 약간 서늘하고 독이 없다. 여로와 상반이다.

能養血ㆍ活血. 生新血, 行宿血, 故能安生胎, 落死胎, 血崩ㆍ帶下可止, 經脈不勻可調. 此心脾ㆍ肝腎血分之藥, 所以亦能養陰定志, 益氣解煩, 療眼疼ㆍ脚痺, 通利關節, 及惡瘡疥癬, 赤眼丹毒, 排膿止痛, 長肉生肌.

혈을 기르거나 잘 돌게 할 수 있다. 새 혈을 생성시키고 묵은 혈을 운행시키므로 살아 있는 태아는 안정시키고 죽은 태아는 나오게 하며, 혈붕이나 대하를 멎게 하거나 월경[經脈]이 고르지 못한 것을 고르게 할 수 있다. 심비(心脾)와 간신(肝腎)의 혈분에 쓰는 약이므로 음을 자양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기를 보충하고 답답함을 풀어 줄 수 있다. 눈의 통증과 다리의 비증(痺證)을 치료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며, 악창과 개선, 적안단독(赤眼丹毒)에 고름을 밀어내고 통증을 멎게 하며 기육을 생성한다.

열기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