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추진배경

  • 오늘날은 고전 한의서에 기재된 한약처방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요구하는 시대이다.
  • 의료현장에서는 소비자인 환자가 한약처방에 대한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알 권리를 주장하는 현실에 있다.
  • 이에 따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한약처방 Bio-informatics 구축사업'(2006-2007)과 '표준한방처방 EBM 구축사업' (2008-2012), '한약처방 과학적 근거기반 구축 사업' (2013-2017), ‘한방의료기관 한약처방 안전성 유효성 근거 구축사업’ (2018-2023)을 통하여 한약처방의 안정성, 안전성, 유효성에 대한 연구와 정보를 구축하였다.

한약 처방의 과학적 안전성 & 유효성 근거 구축 1 한의서의 근거 한계 2 의약품 수준의 정보 미흡 3 한약에 대한 사회적 갈등 4 한약처방의 새 패러다임 제시 5 의약품으로서 신뢰도 요구 6 소비자의 알권리 확보

선정

한의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학문학적으로 지명도가 높으며, 법적으로 지정된 한약처방 중에서 우선 순위 85개를 선정하여, 과학적인 정보를 구축하였다.

한약처방 현황

한약처방 현황 - 순번, 처방명, 방제학 교과서, 건강보험급여 처방, 한약조제지침서, 한의원 다빈도 처방 순위, 한약제제 허가 품목, 일본 한방제제 의료용 허가 품목
순번 처방명 방제학 교과서 1) 건강보험급여 처방
(다빈도 순위)2)
한약조제지침서
(100종)3)
한의원 다빈도
처방 순위4)
한약제제
허가 품목5)6)7)
일본 한방제제
의료용 허가 품목8)
1 가미소요산<동의보감> - - - - - -
2 가미소요산<방약합편> 수록 14 - - O O
3 가미온담탕<동의보감> - - - - O -
4 가미온담탕<방약합편> - - - - - -
5 갈근탕 - 10 수록 41 O O
6 계지복령환 수록 - - 44 O O
7 계지탕 수록 - - - O O
8 곽향정기산 수록 - 수록 12 O -
9 구미강활탕 수록 4 수록 - O -
10 궁하탕 - 2 - - O -
11 귀비탕 수록 - 수록 4 O O
12 내소산 - 16 - - O -
13 당귀수산 - - 수록 17 O -
14 당귀작약산 - - 수록 - O O
15 대건중탕 수록 - 수록 - O O
16 대시호탕 수록 - 수록 34 O O
17 대영전 - - - 18 O -
18 대화중음 - 33 - - O -
19 독활기생탕 수록 - 수록 15 O -
20 마자인환 수록 - - - O O
21 마황탕 수록 - - - O O
22 맥문동탕 수록 - - 49 O O
23 반하백출천마탕 수록 15 수록 9 O O
24 반하사심탕 수록 17 수록 82 O O
25 반하후박탕 수록 32 수록 - O O
26 방기황기탕 수록 - 수록 - O O
27 방풍통성산 수록 - 수록 30 O O
28 배농산급탕 - - 수록 - O O
29 보중익기탕 수록 8 수록 2 O O
30 분심기음 - - 수록 20 O -
31 불환금정기산 수록 18 - - O -
32 사군자탕 수록 - 수록 56 O O
33 사물탕 수록 - 수록 - O O
34 산조인탕 수록 - - - O O
35 삼령백출산 수록 - 수록 22 O -
36 삼소음 수록 9 수록 32 O O
37 삼출건비탕 수록 28 수록 - O -
38 생맥산 수록 21 - 58 O -
39 소건중탕 수록 - 수록 34 O O
40 소경활혈탕 - - - - O O
41 소시호탕 수록 20 수록 60 O O
42 소청룡탕 수록 7 수록 - O O
43 소풍산 수록 - 수록 - O O
44 시령탕 - - - - - O
45 십전대보탕 수록 - 수록 3 O O
46 쌍화탕 수록 - 수록 6 O -
47 억간산가진피반하 - - - - O O
48 연교패독산 수록 11 - - O -
49 영계출감탕 수록 - 수록 - O O
50 영선제통음 - - - - O -
51 오령산 수록 - - - O O
52 오약순기산 수록 - 수록 66 O -
53 오적산 수록 1 수록 5 O O
54 온경탕 수록 - 수록 24 O O
55 온청음 - - - - O O
56 용담사간탕 수록 - 수록 - O O
57 위령탕 수록 - 수록 69 O -
58 육군자탕 수록 - 수록 86 O O
59 육미지황탕(환) 수록 - 수록 1 O O
60 은교산 수록 - - - O -
61 이중탕 수록 26 수록 - O -
62 이진탕 수록 3 수록 7 O O
63 인삼양영탕 수록 - 수록 - O O
64 인삼패독산 수록 13 수록 70 O -
65 자감초탕 수록 - 수록 - O -
66 자음강화탕 수록 19 수록 10 O O
67 작약감초탕 수록 - - - O O
68 조경종옥탕 - - 수록 72 - -
69 조등산 - - - - - O
70 지황음자 수록 - 수록 - - -
71 천왕보심단 수록 - - - O -
72 청상견통탕 - 22 - - O -
73 청상방풍탕 - 21 수록 - O O
74 청심연자음 수록 - 수록 37 O O
75 탁리소독음 - - - - O -
76 팔물탕 수록 27 - 11 O -
77 팔미지황탕(환) 수록 - - 38 O O
78 팔정산 수록 - - - O -
79 평위산 수록 6 수록 8 O O
80 향사육군자탕 수록 - - 27 O -
81 향사평위산 수록 5 - 27 O -
82 향소산 수록 - - - O O
83 혈부축어탕 수록 - - 91 - -
84 형개연교탕 - 12 수록 - O O
85 황련해독탕 수록 24 수록 - O O
  • ①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공편저. 방제학. 도서출판 영림사. 2008.
  • ② 김종대, 손명세. 2013 건강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 ③ 한약 처방의 종류 및 조제 방법에 관한 규정. 보건보지부 고시 제 1995-15호. 2007.
  • ④ 이종태. 한국인의 한약재 복용실태 조사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 ⑤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7 - 25 호:대한약전외의약품기준. 2007.
  • ⑥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효능군별 한약서 처방 허가(신고) 품목 정보. 2013.
  • ⑦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2021.
  • ⑧ (財)日本醫藥情報센터. JAPIC 漢方醫藥品集. 平成23年.

정보 구성

처방 정보

최초의 문헌과 중국 및 한국, 일본의 시대별 문헌내용을 기재하였다.

이화학 정보

본 연구사업을 통해 실험하는 한약처방의 출전과 구성, 1첩 용량을 수록하였다. 이 한약처방에 대한 성분 및 구조식, 처방 추출물의 수율 및 지표성분 함량, 지표성분 정량법, pH 및 당도, 영양소 및 무기질 함량 등 이화학적인 정보를 제시하였다.

전임상정보

약리작용

약리작용을 요약 정리하여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라 기술하였다.

  •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 신생물
  •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기전을 침범하는 특정 장애
  •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 정신 및 행동 장애
  • 신경계통의 질환
  • 눈, 귀, 코 및 목구멍의 질환
  • 순환기계통의 질환
  • 호흡기계통의 질환
  • 소화기계통의 질환
  • 피부 및 피부밑조직의 질환
  • 근육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 비뇨생식기계통의 질환
  • 임신, 출산 및 산후기
  •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
  •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 소견
  •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
  • 기타

각론은 Table을 이용하여 기술하였다.

  • 목적 : 실험의 목적에 관련된 주제어를 기술하였다.
  • 모델 : 세포실험(in vitro)과 동물실험(in vivo)실험으로 구분하였고, cell line과 동물종(Mouse/Rat)을 기입하고 동물의 성별을 기호(♂/♀)로 작성하였다.
  • 평가지표 및 결과 : 실험 평가 지표들을 명료하게 서술하였다.

한약·양약 병용 약리작용

한약처방과 양약(합성의약품)의 비교 약리작용을 수록하였다.

타 한약처방과의 비교 약리작용

2개 이상의 한약처방 비교 약리작용을 표기하였다.

약물대사

한약처방의 간 대사를 수록하였다.

독성정보

GLP(Good Laboratory Practice)와 non-GLP 기준을 명시하였다.

  • ① 단회투여 독성
  • ② 반복투여 독성
  • ③ 유전 독성
  • ④ 생식독성
  • ⑤ 기타

임상정보

효능

  •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기준(위의 약리작용에서 제시한 내용)으로 한약처방에 대한 임상자료를 기술하였다.
  • 각 질병군에 따라 증례보고, 환자군 연구, 대조군 임상시험 순으로 기술하였다.
    • ① 증례보고: 질병을 가진 한명의 환자에 대한 관찰 및 경과, 부작용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여 학계에 보고한 연구
    • ② 환자군 연구: 다수의 동일 질병을 가진 환자에 대한 관찰 및 경과, 부작용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여 학계에 보고한 연구
    • ③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 :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환자를 치료하는 군과 비교 대상 군을 무작위로 배정한 다음 치료 효과를 판정할 수 있는 연구
  • 이들 분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기술하였다.
    • ① 병명 : 통계청 한국 표준 질병 사인 분류의 병명을 기본으로 하였다. 한방질병명은 한의서 질병명을 기준으로 하였다.
    • ② 환자정보 : 대상 환자수, 성별은 female(F); male(M), 환자 연령 및 대조군 환자 정보 등 각 임상연구 양식에 맞는 환자 정보를 기입하였다.
    • ③ 복용정보 : 복용 제형과 투여 기간을 기재하였다. 처치 약물/대조 약물, 투여 일수는 일/주/개월로 표기하였다.
    • ④ 평가지표 및 치료효과 : 환자의 치료 평가지표와 치료효과를 기재하였다. 한방병명을 2개 이내로 제한하며, 변증, 증상을 기재하였다.
    • ⑤ 병행치료 : 본 처방이외에 병행된 치료 수단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기록하였다. 다만 합방의 경우는 제외하였다.
      예) 포함 : 침, 구, 부항. · 예외 : 가미방이나 합방처방이 있는 경우 제외를 원칙으로 하나, 본 처방의 연구결과가 명확할 경우는 ‘한약가감’ 혹은 ‘처방명’을 기록하였다.

타 한약처방과의 임상비교

한약처방과 비교 처방한 한약처방과의 임상연구 결과에 대해 기재하였다.

부작용정보

부작용 및 주의사항을 요약하여 병명, 환자정보, 복용정보, 증상, 진단 및 결과, 처치 및 기타 등을 기재하였다.

참고문헌

출처를 찾을 수 있게 참고문헌을 밴쿠버 양식으로 기술하였다.

  • ① 학술지 논문 : 저자명. 제목. 잡지명. 출판년도;권(호):시작면 - 종료면.
  • ② 단행본 : 저자명. 도서명. 판수. 발행지:출판사. 출판년도

정보 검색

본 한약처방 정보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국 OASIS, 중국 CNKI, 일본 CINII, 미국 PUBMED를 검색하여, 한약처방에 대한 자료를 추출하였다.

처방 정보 사이트

국내 검색 사이트

  •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4u.net)
  •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http://kiss.kstudy.com)
  • 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s (http://www.ndsl.kr)
  •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http://oasis.kiom.re.kr)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http://society.kisti.re.kr/main.html)
  •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http://www.koreantk.com)

해외 검색사이트

  • PubMed (http://www.ncbi.nlm.nih.gov/pubmed)
  • Google Scholar (http://scholar.google.co.kr)
  • ScienceDirect (http://www.sciencedirect.com)
  • Citation Information by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http://ci.nii.ac.jp)
  •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http://www.cnk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