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명연구자원 천연물 클러스터 한약자원 거점은행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IOM
한약기원사전
  • 희렴초(豨薟草)
  • Siegesbeckiae Herba / Glandularstalk St. Paulswort Herb
    출전: 대만 THP II:274-5.
  • 국화과(국과菊科, Compositae) 식물 제주진득찰(희렴豨薟. Siegesbeckia orientalis L.)이나 털진득찰(선경희렴腺梗豨薟. Siegesbeckia pubescens Makino) 또는 진득찰(모경희렴毛梗豨薟.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의 지상부를 말린 것.
  • 지실(枳实. Zhishi 즈스)
  • Aurantii Fructus Immaturus
    출전: 중국 ChP 2015:247.
  • 운향과(芸香科) 식물 광귤(산등酸橙. Citrus aurantium L.) 및 그 재배변종 또는 당귤나무(첨등甜橙. Citrus sinensis Osbeck)의 어린 열매를 말린 것. 5~6월에 저절로 떨어진 열매를 모아,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운데를 가로로 썰어 두 쪽으로 나누고 햇볕에 말리거나 저온건조하며, 작은 것은 그대로 햇볕에 말리거나 저온건조한다.
  • 황백(黄柏. Huangbo 후앙뽀)
  • Phellodendri Chinensis Cortex
    출전: 중국 ChP 2015:305-6.
  • 운향과(芸香科) 식물 황피수(黃皮樹. Phellodendron chinense Schneid.)의 나무껍질을 말린 것. 흔히 '천황백(川黃柏)'이라고 부른다. 나무껍질을 벗긴 뒤, 코르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고문헌
  • 원청(芫靑)
  • 본초강목 > 충부 > 난생류
  • 芫靑 《別錄》下品 원청 《별록》 〈하품〉 〔釋名〕 〔석명〕 靑娘子 청낭자 時珍曰︰芫花上而色靑, 故名芫靑. 世俗諱之, 呼爲靑娘子, 以配紅娘子也. 이시진은 "원화(芫花)에서 살고 푸른색이므로 원청(芫靑)이라 한다. 민간에서는 이름을 꺼려서 청낭자(靑娘子)라 부르는데, 홍낭자와 짝이 된다."라고 하였다. 〔集解〕 〔집해〕 《別錄》曰︰三月取, 曝乾. 《명의별록》에서는 "3월에 잡아서 햇볕에서 말린다."라고 하였다. 弘景曰︰二月ㆍ三月在芫花上, 花時取之, 靑黑色. 도홍경은 "2월과 3월에 원화(芫花)에 사는데, 꽃이 필 때 잡으면 청흑색이다."라고 하였다. 恭曰︰出寧州. 소공은 "영주(寧州)에서 난다."라고 하였다. 頌曰︰處處有之. 形似斑蝥, 但色純靑綠, 背上一道黃紋, 尖喙. 三四月芫花發時乃生, 多就芫花上采之, 曝乾. 소송(蘇頌)은 "곳곳에 있다. 모양은 반모(斑蝥)와 유사하지만 색이 순수한 청록색이고 등에 노란 문양 한 길이 나 있고, 주둥이는 뾰족하다. 3-4월에 원화가 필 때 생기는데, 대부분 원화에 사는 것을 잡아서 햇볕에서 말린다."라고 하였다. 時珍曰︰但連芫花莖葉采置地上, 一夕盡自出也. 餘見斑蝥. 이시진은 "단지 원화를 줄기와 잎까지 채취하여 땅위에 두면 하루 저녁만에 저절로 다 빠져나온다. 나머지는 반모(斑蝥) 항목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修治〕 〔수치〕 見斑蝥. 반모 항목에 보인다. 〔氣味〕 〔기미〕 辛, 微溫, 有毒.時珍曰︰芫靑之功同斑蝥, 而毒尤猛, 蓋芫花有毒故也. 畏ㆍ惡同斑蝥.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있다.이시진은 "원청(芫靑)의 효능은 반모와 같지만 독이 더욱 맹렬한데, 원화(芫花)에 독이 있기 때문이다. 두려워하고 싫어하는 것은 반모와 같다."라고 하였다. 〔主治〕 〔주치〕 蠱毒ㆍ風疰ㆍ鬼疰, 墮胎.別錄 治鼠瘻.弘景 主疝氣, 利小水, 消瘰癧, 下痰結, 治耳聾目翳, 猘犬傷毒. 餘功同斑蝥.時珍 고독(蠱毒), 풍주(風疰), 귀주(鬼疰)를 치료하고, 낙태시킬 수 있다.별록 서루(鼠瘻)를 치료한다.홍경 산기(疝氣)를 주치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나력을 삭이고 담이 뭉친 것을 내려가게 한다. 이롱과 눈에 예막(翳膜)이 생긴 증상, 미친개에 물려 독이 생긴 증상을 치료한다. 나머지 효능은 반모와 같다.시진 〔附方〕 〔부방〕 新三. 새로운 처방 3가지가 있다. 偏墜疼痛︰靑娘子ㆍ紅娘子各十枚, 白麪拌炒黃色, 去前二物, 熟湯調服, 立效也.《談野翁方》 음낭 한쪽이 늘어져서 욱신거리면서 아픈 증상 : 청낭자와 홍낭자 각 10마리를 밀가루에 섞어서 노랗게 될 때까지 구운 다음 두 가지 곤충은 빼내고 남은 밀가루를 숭늉에 타서 복용하면 바로 효과가 난다.《담야옹방》 目中頑翳︰發背膏. 用靑娘子ㆍ紅娘子ㆍ斑蝥各二個去頭ㆍ足, 麪炒黃色, 蓬砂一錢, 蕤仁去油五箇. 爲末, 每點少許, 日五六次, 仍同春雪膏點之. 膏見黃連下.《普濟方》 눈에 잘 낫지 않은 예막이 생긴 증상 : 발배고(發背膏)를 쓴다. 청낭자, 홍낭자, 반모 각 2개(대가리와 다리를 제거하고 밀가루와 섞어 노랗게 될 때까지 굽는다), 봉사(蓬砂) 1돈, 유인(蕤仁, 기름을 제거한다) 5개. 이상의 약미를 가루 내고 매번 눈에 약간씩 점안 해 주는데, 하루에 5-6차례씩 한다. 이어서 춘설고(春雪膏)도 함께 점안해 준다. 춘설고는 황련 항목에 보인다.《보제방》 塞耳治聾︰芫靑ㆍ巴豆仁ㆍ蓖麻仁各一枚硏, 丸棗核大. 綿包塞之.《聖惠方》 귀를 막아 이롱을 치료하는 방법 : 원청, 파두인, 비마인 각 1개를 가루 내고 대추씨만 한 환약을 만든다. 이것을 면에 싸서 귀를 막는다.《성혜방》
  • 별(鱉)
  • 식감본초
  • 鼈 자라 凡頭足不縮, 獨目赤目, 腹下不紅, 腹生王字形, 或有蛇紋者, 俱不可食. 孕婦食之, 生子項短. 不可與莧菜芥子, 及猪兎之肉鴨蛋同食, 傷害人. 머리와 발이 수축되지 않는 것, 눈이 하나이거나 붉은 것, 배 아래가 붉지 않은 것, 배에 왕(王) 자 모양이 있거나 뱀무늬가 있는 것은 모두 먹으면 안 된다. 임신부가 자라를 먹으면 목이 짧은 아이를 낳는다. 비름, 겨자 및 돼지고기, 토끼고기, 오리알과 함께 먹으면 안 되니, 사람을 해친다.
현대문헌
용어검색